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사적 관점에서 본 19세기 말 일본의문명 전환과 지적 생태계 확장― 『婦女鑑』과 『幼學綱要』의 표상 비교 (Transition of Civilization and Expansion of Intellectual Ecosystem in Late 19th Century Japan from a Perspective of Women’s History― A Comparison between Representations in Hujyokagami and Yōgakukōyō)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09
31P 미리보기
여성사적 관점에서 본 19세기 말 일본의문명 전환과 지적 생태계 확장― 『婦女鑑』과 『幼學綱要』의 표상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127호 / 189 ~ 219페이지
    · 저자명 : 박시언

    초록

    본고는 여성사적 관점에서 『婦女鑑』과 『幼學綱要』에 나타난 학문적 성취를 이룩한 인물표상을 비교함으로써, 19세기 말 일본에서의 문명 전환과 지적 생태계의 확장 과정을 탐구하였다. 당시 일본에서 학문에 대한 열정은 사회적 기여와 개인적 성취가 결부되어 바람직한 인간의 주요 요소로 여겨져 왔다. 학문적 성취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위를 확장하고 정체성을 함양하는 여성 표상은 『婦女鑑』을 통해 부각되었으며, 이는 『幼學綱要』의 남성학자들의 모습과 어울리면서도 『幼學綱要』에서 다루지 않은 서구학문을 적극 수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리하여 당시 일본의 문명이 중국 중심의 가치 체계에서 서양으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幼學綱要』에서 중국 사상은 ‘고전’으로 자리 잡으며, 이는 일본의 역사적 맥락에서 과거 중국의 지식 체계가 완결된 형태로 재현되는 방식을 통해 명확해진다. 즉, 기존의 사유에서 벗어나 다음 단계의 문명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각의 전환으로 해석된다. 게다가 『婦女鑑』에는 학문적 성취와 자부심, 성별 한계의 초월, 과학적 발견에 대한 열망 등이 표상된다. 이는 ‘양처’와 ‘현모’가 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하는 교육적 지향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婦女鑑』을 통한 여성 롤모델의 발굴은 실제 여학생들의 사회진출 및 세계관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civilization and expansion of intellectual ecosystem in late 19th century Japan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presentations of individuals in Hujyokagami and Yōgakukōyō, from a perspective of women's history. At that time, the passion for learning was regarded as an essential aspect of desirable human qualitie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expanding their social status and cultivating their identity through academic achievements was prominently featured in Hujyokagami. It was complemented the image of male scholars in Yōgakukōyō, while actively embracing Western academic systems not covered in Yōgakukōyō. It becomes evident that the logic of transition of civilization in Japan at the time was accelerating the shift from a China-centered value system to a Western one. Yōgakukōyō illustrates the process by which Chinese thought was established as a classical dimension, clarified through the way China’s knowledge system was reproduced in a complete form within Japan’s historical context.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shift in perspective for Japan to move beyond the existing China-centered value system towards becoming a next-stage civilized nation. In addition, Hujyokagami represents women’s pride in academic achievements, transcending gender limitations, and the desire for scientific discovery. This is fundamentally different educational paradigm from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making women good wives and wise mothers. Notably, the discovery of female role models who achieved academic success through Hujyokagami likel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actual advancement into society and establishment of world view of female stud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