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일제초기 지방유생의 배일의식과 저항행동의 양상 -성암(醒菴) 이철영(李喆榮)을 중심으로- (A Sense of Anti-Japanese & the Resistance Movement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 in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The First Stag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ed on Seong-am(醒菴) Lee-chul you)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9.12
35P 미리보기
한말·일제초기 지방유생의 배일의식과 저항행동의 양상 -성암(醒菴) 이철영(李喆榮)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21권 / 499 ~ 533페이지
    · 저자명 : 백원철

    초록

    19세기 말 동양을 향해 뻗어오는 서양세력(西勢東漸)의 기류를 타고 밀려드는 열강의 침략 앞에 조선은 존망의 위기를 맞게 된다. 이러한 위기국면을 타개해 나가려는 조선의 지식인들은 개화(開化)와 척사(斥邪)로 나뉘어 대립하였고, 이에 절충적인 동도서기론(東道西器論)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호서(湖西)의 공주(公州)에서 태어나 성장하고 부여에서 강학활동을 하던 성암(醒菴) 이철영(李喆榮, 1867~1920)은, 재야 유생의 한 사람으로서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거지수구(去之守舊: 은둔하여 옛 전통을 지켜나감)의 삶으로 일관하였다.
    성암은 빈한한 집에서 태어나 향리에서 주경야독으로 초학을 마치고 이웃고을인 부여의 처사 유대원(1834~1903)을 찾아 수학한 다음, 그곳에 머물며 학숙(學塾)을 열고 제자를 기르던 중 을사늑약이 체결된데 분개하여 의병을 일으키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후 무신년(1908)에는 일제가 우리의 향교와 서원에 신학교를 설치하려 하자, 유림들에게 이를 거부할 것을 촉구하였다. 또한 기유년(1909)에 일제가 우리의 인민과 토지를 장악하려는 의도에서 시행하는 민적법을 공포하자, 이에 정면으로 거부하여 일체 불응하였으며, 이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서한을 두 차례 일본정부에 보내고자 하였다.
    이로부터 성암은 일제의 감시와 탄압을 받게 되었는데, 부여 주재 헌병대에 세 차례 투옥되었고 이 때 민적편입을 강요당하였으나 끝내 굽히지 않았다.
    성암은 옥중 생활과 일제에 의해 탄압받은 내용 등을 기록한 일기를 남겼는 바, 기유일기(己酉日記, 1909), 경술일기(庚戌日記, 1910), 갑인일기(甲寅日記, 1914), 무오일기(戊午日記, 1918) 등 모두 4편이다. 위의 일기는 성암의 배일의식과 그에 따른 저항운동 및 일제의 만행을 파악할 수 있는 분명한 자료가 된다.
    성암의 항일사적은 비록 의병투쟁이나 순국하는 것들과는 직접 비견할 수는 없겠으나, 성암이 보여준 불굴의 지조와 의리정신은 후일의 항일 독립 운동의 전개에 정신적 자양이 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일제강점기의 압제 속에서도 우리 민족의 전통을 지켜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근원적인 동력이 될 수 있었다고 볼 때 일정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At the end of 19th century, Joseon Dynasty went through a crisis with existence against the aggression of great power of the Western influence(西勢東漸) toward the Orient.
    The intellectuals of Joseon who wanted to break through this crisis were opposed to being divided with Gaehwa(開化) and ChukSa(斥邪), and they presented compromised Dongdo-Seogi philosophies(東道西器論).
    At this time, Seong-am(醒菴) Lee-chul young(李喆榮, 1867~1920), who was born in Gongju(公州) of Hoseo(湖西) and grown up, and was acting in Buyeo is one of the Confucian scholar of the outs, he holds fast to the position of Wijung Chuksa(衛正斥邪) and went through the life of Geoji Sugu(去之守舊: Retired and defended an old tradition).
    Seong-am was born in poor family and finished the first studying through the farming by day and studying by night at the native village, and he learned from Yu-dae won(1834~1903), the scholar in retirement of Buyeo which is neighbor town, and he established school lodging(學塾) during in there, taught the disciples, and then he wanted to raise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a rage against conclusion of Eul-sa Forced Treaty but he couldn't.
    After that, Japanese imperialism went to establish new school at our Confucian temple and a school belonging to it & a lecture hall in Mushin year(1908), he pressed the confucian to refuse it. And in Giyu year(1909), Japanese imperialism promulgated Civil Registration Law which will be executed to hold our public and land, then he was against a matter and declined, and wanted to send the letter which criticizes this to Japanese governments two times.
    For that reason, Seong-am was repressed under surveillance by Japanese imperialism, he was put in the military police at Buyeo three times and he was forced to register into the civil registration but he was unshakable in his convictions at the end.
    Seong-am left the diary of contents which he was repress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a jail life, those are total 4 diaries of Giyu diary(己酉日記,1909), Kyungsul diary(庚戌日記,1910), Gabin diary(甲寅日記.1914), Muo diary(戊午日記,1918). The diaries of those are the sharp documents for grasping a sense of anti-Japanese of Seong-am and resistances & barbarism of Japanese imperialism.
    The anti-Japanese historical documents of Seong-am is a fight of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though, but it can be not comparable with martyrdom directly, a principle of iron and righteousness which were shown by Seong-am will be the mental nutrition for the unfolding of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can be the original power to maintain the tradition of our race under oppression b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give a fixed mea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