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말 개발차관기금의 성격연구 : 미국 저개발국 원조에서 ‘기술’과 ‘개발’의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 Development Assistance Fund in the Late 1950s : Focused on the Meaning of ‘Technical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U.S. Aid to Underdeveloped Countrie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9.06
33P 미리보기
1950년대 말 개발차관기금의 성격연구 : 미국 저개발국 원조에서 ‘기술’과 ‘개발’의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36호 / 261 ~ 293페이지
    · 저자명 : 한봉석

    초록

    1950년대 말 미국은 저개발국 개발에서 다소간의 변화를 도모하다. 그 중 저개 발국 산업개발에 초점을 둔 정책변화 중 대표적인 것이 개발차관기금이었다. 이 사업은 원래는 인도, 파키스탄 등을 주 대상으로 하다. 1958년 이후 미국 대한원조 가 삭감되고 있었던 한국의 입장에서도 이 사업은 새로운 희망처럼 간주되었다. 하지만 개발차관기금의 실제 성격은 달랐다. 첫째, 미국의 상호안전보장법 하에서 개발은 저개발국의 산업개발을 의미하지 않았다. 실제로 이 기금은 미국수출입은행과 국제부흥개발은행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저개발국 민간투자를 진흥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미국 대한 원조는 미국 상호안전보장법 하 ‘기술협조’의 구도 하에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 기금 의 설립이 저개발국 산업개발로 직결되지 못했다. 둘째, 개발차관기금은 창설 당시의 목적과는 별개로, 진행과정에서 저개발국 개 발에 우호적이지 않은 형태로 변화하다. 개발차관기금의 장점은 긴 거치기간, 수원국 통화 상환 등을 내세웠다. 이는 원조 이외에 외원획득이 어려웠던 저개발국 들에게 우호적인 부분이었다. 하지만 개발차관기금은 중반 이후, 거치기간을 단축하 고, 달러로 상환을 요구하는 등 정책변화를 가하다. 셋째, 개발차관기금의 승인 지연에는 한국정부의 정치적 혼란도 있지만, 미국 기술협조 원조에 포함된 ‘기술자문’이 가장 큰 장애로 등장했다. 개발차관기금은 수원국의 미국 기술자문 회사, 개발차관기금 자체가 설정하는 기술자문역을 이중으 로 설치하다. 그리고 이들 양자의 수락 이후 기금의 승인을 하다. 이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저개발국에 기금 승인 및 전달이 어려울 수 밖에 없었다. 개발차관기금은 흔히 1950년대 말 개발원조로 간주된다. 하지만 미국 상호안전보 장법 하 기술협조의 구도 하에서는 저개발국 개발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을 잘 보여준 사례라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United States made some changes in the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countries in late 1950's. the Development Loan Fund(DLF) was one of the major policy changes focusing on industrial development in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project was originally aimed at India and Pakistan. For South Korea, where U.S. aid has been being cut since 1958, the project was regarded as a new hope. However, the actual nature of the development loan fund was different.  First, under the Mutual Security Act of the United States, development did not mean industrial development in underdeveloped countries. In fact, the fund was aimed at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in underdeveloped countries to the extent that it did not overlap with the Export-Import Bank of America and the International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However, the fund's establishment was not directly linked to industrial development in underdeveloped countries, as the U.S.
    aid was carried out under the auspices of the ‘Technical Cooperation’ under the U.S. Mutual Security Acts.  Secondly, DLF has changed from a form that is not 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countries in the process. The advantage of the development loan fund was the long grace period and the repayment of Suwon's currency. In addition to aid, this was a favorable part for underdeveloped countries that had difficulty in obtaining foreign aid. However, DLF has changed its policy since the middle of the year by reducing the grace period and demanding repayment in dollars.  Furthermore, the ‘Technical Cooperation’ aid has emerged as the biggest hurdle to the industrical development to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DLF double-installed a technical advisory station set up by the U.S. Technology Advisory Company and DLF itself in Suwon. And after the acceptance of these two, the fund was approved.
    This forced the difficulty of approving and delivering funds to underdeveloped countries at an appropriate time.  In conclusions, DLF is often regarded as a development aid in the late 1950s.
    However, under the framework of technological cooperation under the U.S. Mutual Security Act, the development of underdeveloped countries was essentially block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