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과 서사, 언어 간 교환 체계 성립과 근대어의 증식-<대한민보>의 언어정리사업과 소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Exchange System among Words, Narrative, and Language and the Increase in Modern Language: Focus on Language Readjustment and Novels in Daehanminbo)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2
41P 미리보기
말과 서사, 언어 간 교환 체계 성립과 근대어의 증식-&lt;대한민보&gt;의 언어정리사업과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75권 / 199 ~ 239페이지
    · 저자명 : 전성규

    초록

    본고는 <대한민보>(1909.6.2.-1910.8.31)의 언어정리사업란 및 연재소설의 일부를 대상으로 하여 황제권이 붕괴되고 통감정치가 시행되는 상황에서 <대한민보>가 어떻게 주체적으로 담론공간을 전유하고 자기서사를 확장해 나갔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민보>의 발행주체인 대한협회는 통감부가 주도하는 법, 정치, 경제 제도의 변화를 실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였고 그런 인식을 보여주는 난이 「신래성어문답」이다. 이것은 발행주체의 대다수가 과거 역관과 같은 중인층으로서 교통공간의 중심에 서 있었던 경험이나 갑오개혁과 대한제국 정부에 대항하는 쿠데타를 도모했던 경험을 갖고 있다는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소위 민족부르주아지 혹은 지사형 계몽지식인으로 불리는 담론주체와 구별되게 이들은 사회의 기능분화, 법치화, 관료제화를 근대의 토양으로 생각했다.
    「신래성어문답」이 일본에서 들여온 근대적 법과 규칙의 안정화에 기여한 난이라고 한다면 「이훈각비」, 「명사집요」, 「사전연구초」는 기반으로 삼고 있는 세계에 대한 주체적 표현을 가능하도록하는 통사적 차원의 언어를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난이었다. 주어와 술어를 갖는 문장구조의 생산, 자연어 즉 말의 영역에 있던 고유어를 문학어로 재탄생시키는 일, 다양한 곡용어의 개발 등이 이 난들을 통해 수행되었다.
    <대한민보>의 여러 소설들은 「신래성어문답」의 용어가 기반으로 하고 있던 세계를, 「이훈각비」, 「명사집요」, 「사전연구초」의 문장체계를 그 표현수단으로 해서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형상화하였다. 황제권의 붕괴로 중심없는 분화된 시점들이 산재하게 되자 서사적 기획은 주체가 스스로를 만들어가는 기획과 분간할 수 없을 만큼 깊은 관련이 있게 되었다. <대한민보>의 소설은 현실세계와 역학관계를 유지하면서 현실세계를 주체적으로 독해하고 흡수하여 소화한 것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때문에 현실세계와의 접촉과 교통은 중요한 것이었는데 이러한 역학관계가 1910년에 연재되었던 소설에 접어들어 깨지게 된다. 이 시기는 한‧일병합론이 구체화되고 식민화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던 때였기 때문에 소설을 통해 담론주체가 정치적 기획을 서사화하는 것이 점차 불가능해졌다. 1910년대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자율적 문학관의 발달은 이와 같은 식민지적 특수성과 관련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ed at exploring the process of how Daehanminbo had an appropriation on a discoursive space to itself and expanded self-narrative while the power of emperor collapsed and the supervision politics was implemented. For this purpose, it focused on the series of language readjustment and some of novels published in the newspaper titled Daehanminbo(1909.6.2.-1910.8.31.).
    Daehanhyuphoe, which was in charge of publishing Daehanminbo, accepted the change in legal,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led by the Japanese Residency-General as a positive one, and Shinlaesungeomundap is a good example of this. Most of members in Daehanhyuphoe were from the middle class such as interpreters had experienced being in the transportation center or being one of the members who had planned a coup against Korean government or conducted the Gabo Reform of 1894. Thus, their experience could be related to the series, Shinlaesungeomundap. Comparing to the discourse subject who were called as national bourgeoisie or patriotic enlightenment intellectuals, they thought the differentiation of function in society, rule of law and bureaucratization as a common ground for modernity,Shinlaesungeomundap was a segment that contributed to the stabilization of modern law and legislations brought from Japan, whereas Inhungakbi, Myungsajibyo, and sajeonyeongucho were segmentes for producing the language at the syntactic level. that enabled the subjective expression on the world. These segments conducted a variety of activities: production of sentence structures with subjects and predicates, rebirth of traditional language or native words which were in the fields of words as literature language, and development a variety of final consonants.
    Many novels published in Daehanminbo formed the concrete and affluent world that was a basis for the terms in Shinlaesungeomundap by using the sentenced structures in Inhungakbi, Myungsajibyo, and sajeinyeongucho. As acentric differentiated point of views became scatter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power of emperor, narrative planning became relevant to the planning that the subject had been forming. And the distinction between them was hard to distinguish. A series of novels in Daehanminbo tried to express the real world which they had read and absorbed on their own, remaining in a relationship of dynamics. Therefore, contacts and communication with the real world were important. This relationship of dynamics, however, was broken when it reached to the series of novels published in 1910. This period was when annexation of Korea-Japan became actualized and Korea was rapidly colonized. Due to this time-based characteristic, it became impossible for discoursive subjects to narrate the political planning through novels. A development of autonomous point of view in literature, which was developed in 1910s, was related to the colonial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