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 연구 — 말과 지식의 양가성을 중심으로 — (A Small Ball Shot by a Dwarf as a pedagogical text — Focused on the ambivalence of word and knowledg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9
31P 미리보기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 연구 — 말과 지식의 양가성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70호 / 213 ~ 243페이지
    · 저자명 : 양정현

    초록

    이 논문은 조세희의 연작소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말과 지식의 오고감, 그리고 그것에 쓰임에 관한 담화로서 보고, 이 소설이 제시하는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지향의식을 교육이라는 주제를 통해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난장이』가 구축하고 있는 대립적 세계관은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지향 의식 속에서 성립하며, 그것은 사회경제적 현실과 윤리적 당위의 비대칭적인 관계를 기초로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부조리한 상황 속에서 지식과 폭력은 각각 자본과 계급과 노동자 계급에 속하는 주요 지표가 된다. 『 난장이』가 「뫼비우스의 띠」와 「에필로그」를 외화로 하는 액자소설이며, 두 소설의 배경인 교실은 그 무엇보다 일차적으로는 교육과 연관된 공간인 탓에 『난장이』는 교육의 가능성, 즉 지식을 습득하는 일과 그 효과를 설시하는 ‘교시의 플롯’으로 읽힌다. 그런데 노동자 계급의 영수라는 인물의 각성이 교육이 아닌 폭력으로써 관철되고 있다는 사실은 그가 교육의 실패를 표상하는 인물로 보이게 만든다.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의 결미에서 영수는 사랑이 교육으로써 관철될 수 있다는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고 법이 필요하다는 난장이의 생각에 기울어졌음을 보여준 바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주제에 주목할 때 이와 같은 영수의 심경 변화와 폭력적 행동은 『난장이』 해석의 중심인 동시에 해결되어야 할 난점이 된다.
    이 난점을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사랑이나 교육, 법률과 같은 핵심 주제어들이 소설 속에서 양가성을 가지고 쓰이고 있다는 사실이다. 『난장이』에서 교육은 그 자체로 사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수단은 아니다. 오히려 교육은 감정을 고갈시키는 편협한 지식의 주입으로까지 묘사되고 있다.
    이 같은 교착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단초로서 제시되는 것은 교육 그 자체가 아니라, 정확히는 교육의 올바른 쓰임이다. 『난장이』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는 영수의 죽음이라는 이야기 층위의 사건보다는, 그 사건을 감싸안고 의미론적 통일성을 부여하는 외화의 상황과, 뫼비우스의 띠와 클라인 씨의 병이라는 개념적 축도를 참조하면서 이해되어야 한다. 두 개념적 축도는 교육은 무언가를 말로써 설득하기 위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갖고 있는 것을 재인식하는 것이요, 내가 가진 무엇에 근거해 ‘듣게’ 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자본가 계급형 인물인 경훈은 그처럼 ‘듣는’ 주체로서의 윤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나아가 그와 같은 책임 있는 말하기와 듣기의 상황은 내화와 외화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면서 열린 결말에 해석상의 단초를 제공한다. 그것은 말하기와 듣기의 상호책임을 독자에게까지 확장하면서 『난장이』 연작에 나타난 교육의 주제의 의미론적 가치를 증대시키며, 다소 공상적이고 도피적인 것으로 소설의 결말을 긍정적으로 다시 평가할수 있게 하는 근거를 제공해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present A Small Ball Shot by a Dwarf, which is a roman-cycle by Jo Se-hee, as a discourse on the exchange of words and knowledge, and explaining the political and ethical orientation proposed by this fiction in terms of the themes of pedagogy.
    The conflicting worldview that Dwarf establishes is formed in the consciousness of ethical and political orientation, based on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reality and ethical principle. And in this unreasonable situation, knowledge and violence are major indicators of capitalist class and working class each. Therefore, the plot of the ‘teaching’ made by Dwarf is the central point of interpretation of the work, because it is framed by outer story "Möbius's Band" and "Epilogue." Despite the classroom is primarily a space related to pedagogy, it is the fact that the awakening of the character, Young-su, is ended up by violence rather than pedagogy, that regards him as the allegory of the failure of pedagogy. In the ending of "The fault is also in God", Young-su withdraws his belief that the ideal soceity can be realized by pedagogy and shifts his position from the pedagogy to the law, as his father did.
    However, core key words such as love, pedagogy, and law are being used in the novel with ambivalence, and therefore pedagogy is not a means of socio-political change in itself. Rather, pedagogy is even portrayed as an infusion of narrow knowledge that depletes humanistic compassion.
    What is presented as a starting point to overcome this stalemate is not pedagogy itself, but precisely the correct use of pedagogy. The themes of pedagogy of Dwarf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within the meaning of inner story but also with reference to the situation of outer story, which frames inner event and the conceptual epitome of “Möbius's belt” and “Klein bottle.” Both conceptual epitome show that pedagogy is not about acquiring knowledge to persuade something, but re-recognizing what s/he already have, and making someone to "listen" carefully based on what s/he have.
    Kyung-hoon, a capitalist class figure, shows such pedagogical ethics as a 'listening' subject, and furthermore, the situations of such responsible speaking and listening are both repeated in the outer and inner story, providing the clue for coherent interpretation of the open ending of Dwarf. It extends the mutual accountability of speaking and listening to the degree of reader, increasing the semantic value of the themes of pedagogy presented in the Dwarf and also provides a textual evidence for reevaluating the end of this no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