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접촉지대 부산을 향한 제국의 시선: 외국인의 여행기에 재현된 19세기말의 부산 (Imperial eyes toward the Contact zone Busa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04
36P 미리보기
접촉지대 부산을 향한 제국의 시선: 외국인의 여행기에 재현된 19세기말의 부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해항도시문화교섭학 / 18호 / 295 ~ 330페이지
    · 저자명 : 구모룡

    초록

    19세기말 여러 나라 외국인의 여행기를 통하여 부산을 경유하는 다차원의 항로를 알 수 있다. 나가사키가 동아시아 해역의 거점항로라면 부산은 하나의 결절지에 해당한다. 청일전쟁을 거치면서 로컬 부산은 지역적이고 세계적인 공간으로 부상한다. 부산을 향하는 제국의 시선이 뜨겁다. 퍼시벌 노웰, 샤를 바라, 사쿠라이 군노스케, 헤세 바르텍, 이사벨라 비숍, 카르네프의 여행기는 조선과 부산에 대한 지정학적 관심을 대변한다. 일본인 전관거류지를 향한 이들의 시선은 일본도시를 상상한다. 나가사키와 같은 일본도시의 경험을 다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시선에서 여러 가지 이중성이 드러난다. 식민도시 부산과 자연경관, 일본인 거주지와 조선인 거주지, 부산과 주변부 동래 등은 비대칭적인 양상을 보인다. 문명화 담론과 오리엔탈리즘이 중층화된 형태로 작동한다. 도시와 경관을 접근하는 태도도 부감의 시점을 견지하거나 원근법적 인식을 활용한다. 이로써 보는 자와 보이는 자의 권력관계가 형성된다. 이 지점에서 인종적 위계담론이 기입된다. 여행의 시기와 여행자의 입장에 따라서 식민도시의 이중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에 편차가 생기기도 한다. 헤세 바르텍과 카르네프 등은 일본인과 조선인, 일본인거주지와 조선인 거주지를 명료하게 구분하는 한편 그 경계의 혼종 양상을 주목한다. 이중도시와 혼종화는 식민도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두 측면이다. 하지만 제국의 시선은 이항대립적 논리로 차이와 갈등을 은폐하고 차단한다. 회화적 글쓰기를 통하여 풍경과 경관 그리고 생활양식을 개관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지배와 소유를 강화한다.
    다섯 사람의 여행기는 접촉지대 부산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전관거류지가 식민도시로 발전하는 양상이 구체적으로 서술되고 있다. 이들이 제국의 상상으로 서술의 편향을 보이거나 잘못된 인식지도를 그리고 있는 사실을 피할 방법은 없다. 번역과 문화교섭의 가능성이 비대칭적인 권력관계에 의하여 봉쇄되고 있다. 식민도시 부산에 내재한 일본적 근대가 유럽과 일본의 혼재로 이해될 수 있다면 그 외부 또한 새롭게 인식되어야 한다. 부산과 주변부 동래가 철저하게 다른 공간으로 그려지고 있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선의 인식과 큰 편차를 지닌다. 그럼에도 식민도시 부산의 형성과 발전에 개입하는 제국의 시선을 다층적인 스케일로 이해하는 일이 중요하다. 로컬은 지역과 세계의 개입으로 팽창한다. 여러 여행기들을 통하여 식민도시 부산이 변화하는 과정의 구체를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find a multi-dimensional route to Busan through foreign tourists from various countries. If Nagasaki is the hub of East Asian sea, Busan is a nodal point. Through the Sino-Japanese War, local Busan becomes a regional and global space. The Imperial eyes toward Busan are hot. The travel writings of Percival Norwell, Charlevar, Gunoske Sakurai, Hesebartek, Isabella Bishop, and Carnev represent geopolitical interests in Korea and Busan. Their visions toward Japanese concession see as a Japanese city. Because they can confirm the experience of a Japanese city such as Nagasaki again. There are various dualities in their eyes. The colonial city of Busan and its natural landscape, Japanese residence and Korean residence, Busan and Dongrae of the periphery are asymmetrical. The civilization discourse and Orientalism work in a layered form. Attitudes toward city and landscape also stand at the point of time of the depreciation or utilize perspective recognition. This creates a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and the viewer. At this point, a racial hierarchy discourse is entered. Depending on the time of travel and the position of the traveler, The colonial city of Busan and its natural landscape, Japanese residence and Korean residence, Busan and Dongrae of the periphery are asymmetrical. The civilization discourse and Orientalism work in a layered form. Attitudes toward city and landscape also stand at the point of time of the depreciation or utilize perspective recognition. This creates a power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and the viewer. At this point, a racial hierarchy discourse is entered.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trip and the position of the traveler, there may be a deviation in the sight of the double space of the colonial city. Hesebartek and Carnev clearly distinguish Japanese, Korean, Japanese and Korean settlements, and note the hybrid pattern of the boundary. Dual cities and hybridization are two aspects that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colonial cities. However, the empire 's gaze conceals and blocks differences and conflicts with binary oppositional logic. Strengthen dominance and ownership of others by opening scenery, landscape and life style through painting writing.
    The travel writings of the five people help to understand the appearance of the contact zone Busan. The pattern of development of colonial settlement is described in detail. There is no way to avoid the fact that they are biased or misinterpreted in the imagination of the empire. This is because the possibility of translation and cultural bargaining is blocked by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If the Japanese modernity inherent in the colonial city of Busan can be understood as a mixture of Europe and Japan, the outside must also be newly recognized. It can be seen that Busan and the surrounding area Dongrae are being drawn into a completely different space. This is a big deviation from the recognition of Joseon.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the empire that intervenes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olonial city of Busan on a multi scale. The locals expand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region and the world. Through various travel writings,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olonial city of Busa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항도시문화교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