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진매체의 수용을 통해 본 19세기 말 한국 사회의 시각문화에 대한 연구 (Photography and Modernity in Korean Society of the Late 19th Centur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3.12
26P 미리보기
사진매체의 수용을 통해 본 19세기 말 한국 사회의 시각문화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47권 / 6호 / 354 ~ 379페이지
    · 저자명 : 주형일

    초록

    19세기 서구 근대의 시대정신 속에서 탄생한 사진은 19세기의 서구 근대성을 구현하는 대표적인 시각매체로 인정되고 있다. 19세기 말 외부 열강들의 역학 관계 속에서 강제적으로 문호를 개방한 한국사회는 사회문화적 충격 속에서 근대성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급격히 도입된 사진은 한국사회가 갖고 있던 기존의 시각적 재현체계에 큰 변동을 가한다. 근대과학기술 문명의 하나로서 사진은 곧 한국사회에서 태동하던 근대적 부르주아 계급에 의해 기록의 수단, 상업의 수단으로 수용되었다. 초기에 초상사진과 풍경사진의 형태로 소비되던 사진은 초상화, 풍경화와 같은 회화의 형태에 영향을 주었고 서구의 근대적인 시각적 표현양식들이 한국사회에서 뿌리내리는데 기여했다. 또한 개항 초기 사진기를 들고 상륙한 외국인들은 한국사회와 한국인에 대한 그들의 편견을 사진에 고정시켜 유포했다. 한국인은 이러한 사진 속에서 타자의 시선에 의해 대상화된 모습을 자신의 것으로 수용함으로써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을 자신의 것을 내재화시켰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and the formation of the modernity in the korean society of the late 19th century. Photography, invented in the modern episteme of the 19th century in Europe, is considered as a visual medium realizing the modernity of the 19th century.
    Till the late 19th century, the korean society had not opened the door to foreigners. As the opening of the door was forced and unexpected, the contact with the modern civilization was a great shock to the korean society. Till then, the policy of seclusion forbidding a introduction of any modern things from Occidental civilization,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as a quintessentially modern technology turned upside down the korean society.
    In the early stage of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it is some rich nobles and middle class men who took a great interest in photography. They employed photography for business. The first photographs generally produced in the korean society of the late 19th century were portraits and landscapes. Those photographs influenced the paintings and contributed for the settlement of the modern way of seeing in the korean society.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oreigners, especially europeans and americans, also took photographs of korean people and landscape. The koreans in the photographs taken by occidentals were represented as kind savages or oriental wise men. The korean people and landscape were observed and documented like interesting objects to take. It is proved by the fact that the very popular photographs in that time were the photographs of kisaeng(professional singing and dancing girl for pleasure). This Orientalism was internalized by the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