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널리즘에 투영된 사회적 기억: 제민일보 <4·3은 말한다>의 의미연결망 분석 (Social Memory Reflected in Journalism: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Jemin Ilbo’s <4·3 Say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5.02
44P 미리보기
저널리즘에 투영된 사회적 기억: 제민일보 &lt;4·3은 말한다&gt;의 의미연결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129호 / 188 ~ 231페이지
    · 저자명 : 정용복, 최명일

    초록

    본 연구는 제주 4·3사건의 사회적 기억을 탐구하기 위해 제민일보의 <4·3은 말한다>를 대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하였다. 특히 ‘무장대’와 ‘토벌대’라는 두 주요 집단의 자아중심 연결망을 조사하여 각 집단의 사회적 기억 형성과 그 복합성을 조명하였다. 분석 결과, <4·3은 말한다>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핵심어들은 사건 발생지, 주요 인물 및 기관, 그리고 사건의 다양한 측면으로, ‘경찰’, ‘무장대’, ‘토벌대’, ‘학살’, ‘희생’, ‘고문’ 등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핵심어들은 제주 4·3사건의 잔혹성과피해자들의 고통을 강조하며, 사건의 중요성과 비극적 측면을 사회적 기억 속에 각인시키고 있었다. 하위집단 분석에서는 ‘토벌 작전’, ‘기록상의 4·3 참상’, ‘진상 조사 활동’, ‘토벌대와 무장대’, ‘해방 이후의혼란’, ‘피해자와 희생자 기억’ 등 여섯 개의 집단으로 나뉘었다. 특히 ‘무장대’는 마을 주민과 경찰을 습격한 사건 중심으로 기억되고, ‘토벌대’는 주민들을 상대로 자행된 학살과 대규모 희생 중심의 기억을형성하고 있었다. 두 집단의 사회적 기억은 폭력적 충돌과 구조적 억압의 서사를 보여주며, 제주 4·3사건의 비극성을 더욱 확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제주 4·3사건의 사회적 기억이 단일한 서사가 아닌 다양한 주체와 집단의 기억이 교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memory of the Jeju 4·3 Incident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Jeju Ilbo’s series <4·3 Says>.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the egocentric networks of two main groups, the ‘armed resistance group’ and the ‘government suppression forces’, to shed light on the formation and complexity of each group’s social memo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in <4·3 Says> represent the locations, key individuals, institutions, and various aspects of the incident, with terms such as ‘police’, ‘armed resistance group’, ‘government suppression forces’, ‘massacre’, ‘sacrifice’, and ‘torture’ playing central roles. These keywords highlight the brutality of the Jeju 4·3 Incident and the suffering of the victims, strongly imprinting the significance and tragic aspects of the event in social memory. Subgroup analysis identified six thematic clusters: ‘Suppression Operations’, ‘Documented Atrocities of 4·3’, ‘Truth Investigation Activities’, ‘Government Suppression Forces and Armed Resistance Group’, ‘Post-Liberation Chaos’, and ‘Memories of Victims and Survivors’. Notably, the ‘armed resistance group’ is primarily associated with memories of attacks on villagers and police, while the ‘government suppression forces’ are linked to large-scale massacres and collective sacrifices. The social memory of these two groups reflects narratives of violent conflict and structural oppression, further amplifying the tragedy of the Jeju 4·3 Inciden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ocial memory of the Jeju 4·3 Incident is not a singular narrative but rather an intersection of diverse memories from multiple subjects and group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