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말(1937~1945) 통제경제정책과 실행과정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The Controlled Economic Policy and the Process of its Practice in the End of Japanese Imperialism(1937~1945): Focusing on Maeilshinb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1.05
35P 미리보기
일제말(1937~1945) 통제경제정책과 실행과정 -매일신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42호 / 141 ~ 175페이지
    · 저자명 : 송규진

    초록

    일제는 중일전쟁과 태평양전쟁을 치르면서 통제경제정책를 실시했다. 물가와 배급을 통제하기 위해 제도를 정비하고 각종 회의와 홍보에 열을 올렸다. 먼저 군수물자에 대한 물가를 통제했고, 중일전쟁 발발 후에는 법령을 제정하여 매점매석을 집중 단속했다. 또 경제단체를 통한 적극적인 협력도 유도했다. 그런데 물가는 급등하고 민심불안이 가중되었다. 공정가격제를 실시했으나 오히려 가격인상만 부추겼으며 보다 강력한 통제를 위한 법령을 제정하고 계속 갱신했으나 효과가 없었다. 물가단속을 위한 가격표시제 의무화, 공정가격 지정품목 확대, 원가계산제 시행 등과 아울러 민간인 중심의 위원회를 구성하여 물가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으나 ‘암가격’으로 물가는 폭등하고 물가통제는 실패하고 말았다. 배급통제 역시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았다. 군수물자 수입을 장려하고 민수물자 수입을 제한하는 한편 공정가격 유지를 위해 배급업자를 대상으로 배급통제를 실시했는데 업자들의 반발에 부딪쳤다. 전쟁이 확대하자 일반인에게도 배급통제를 적용했다. 특히 식량배급이 가장 큰 문제였다. 배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본인과 조선인에게 차등배급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물가통제령을 공포하고 생필품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다. 수세에 몰리자 모든 생필품에 대한 철저한 배급통제를 실시했으며 민족차별적 배급으로 조선인의 생활고는 심화됨으로써 민심은 흉흉해졌다. 통제경제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경찰기구를 정비하고 경제경찰을 신설했으며 검찰기구도 정비했다. 그러나 단속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업자를 통한 자치적 통제를 유도했는데 정실에 따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관민합작’을 강화하고 군대식으로 개편했다. 이 모든 제도와 기구의 정비에도 불구하고 단속기구 확대와 함께 무리한 단속이 잇따르자 강한 반발에 부딪쳤다. 각종 회의와 행사를 통한 홍보 역시 통제경제정책 실행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관료가 주축이 된 간담회가 제 역할을 못하자 관민경제 간담회를 통해 경제인과 함께 여러 가지 문제를 협의했으나 뜻대로 되지 않았다. 여러 정책적 방안과 홍보에도 불구하고 물자부족과 심각한 식량난으로 인해 ‘경제범죄’는 끊임없이 발생했다. 경제사범을 일제에 투쟁하는 투사로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일제 통치체제의 균열에 일정부분 기여했으며 조선인이 일제에 등을 돌리게 한 요인이 되었다.

    영어초록

    During the wars against China and USA, Japanese Imperialism implemented the controlled economic policy. The Japanese government reformed its organizations and convened countless conventions and meetings, through which to regulate prices and distribution. Firstly, it attempted to put war supplies under control and then crack down on the practices of cornering and hoarding.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persuaded economic organizations to collaborate on the price control polices. However, all these efforts failed, resulting in skyrocketing prices of staple commodities and the prevailed unrest of the people. Other efforts, such as ‘the rule of marking selling price,’ ‘designation of official price-control items,’ and ‘cost accounting systems,’ also turned out unsuccessful. Prices at black markets soared, and the price control ordinances did not work. Distribution controls also did not bring out the anticipated outcome. As they stimulated the import of war supplies as well as restricting the import of civilian goods, Japanese authorities also attempted to regulate the distributions, which were normally managed y distributing traders, so as to maintain official prices. As the war prolonged, the government extended the distribution regulating system to the general public. Food ration was the most crucial issue. Due to the shortage of food, discriminative distribution was practiced against the Korean. During the Pacific War, the regulation on the necessities was further strengthened. Under the severe distribution control and discriminative ration policy, the Korean suffered far more than before, and the public sentiment was far more disturbed. To set policies to control the economy, Japanese administrations realigned prosecution system and police organizations as well as newly invented economy police. Urging the traders for collaboration, they enforced the system of ‘the united efforts of officials and people’ and then reformed it into a quasi-military system. The enlargement of the regulations entailed the strict governmental control over economy and society, which encountered strong oppositions. The government organized various collective events, but they hardly facilitated the economy control policy. Due to the acute shortage of food and living goods, the number of economic crime constantly increased. What is intriguing is the role of the violators of economic rules. Although they can be by no means considered as the fighter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it cannot be also denied that in such a serious economic situation their violations consequentially expedited the collapse of the regime as well as the alienation of the colonial people from the Japanese Imperialism to a certain degre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