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경상도 상주 사회의 혼란과 맹제 정의묵의 활동 (Turmoil in Sangju Society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Activities of Maengje Jeong Eui-muk)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5.03
46P 미리보기
19세기 말 경상도 상주 사회의 혼란과 맹제 정의묵의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73호 / 481 ~ 526페이지
    · 저자명 : 송진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말 상주의 유력가문 출신 인물이자 중앙관직을 경험한 정의묵의 활동을 통해 경상도 상주 사족 사회의 변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상주의 진주정씨와 풍산류씨는 통혼과 사승 관계를 유지·발전시켜 17세기부터 상주 사족 사회의 유력가문이 되었다. 두 가문은 중앙정부에 진출하는 시도를 이어 나갔고, 관직자를 배출하면서사족 사회에서의 위상도 높였다. 중앙관직을 지냈던 유력가문의 인물은 조정과의 연결점으로 인식되어, 사족 사회는 유력가문을 앞세워 중앙조정에 정치적 의견을 드러내거나 향촌 내에서 위상을 유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은 성리학적 신분질서를 유지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기에, 중앙정부와의 갈등 상황을 초래하지는 않았다. 정의묵은 19세기 말 유력가문을 대표하는 인물로, 중앙정부에서 뚜렷한 정치적 행동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동부승지까지 오른 경험과 인적 관계는 향촌내 역관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배경이 되었다.
    1894년 중앙정부는 정의묵을 경상도 소모사로 임명해 향촌 안정을도모했다. 그 과정에서 정의묵은 상주의 재지사족 및 중앙정부와 갈등을 빚기도 했지만, 그의 위상과 영향력, 가문과 스승에게 배운 중재자적 정치적 성향을 바탕으로 소모의 일을 수행할 수 있었다. 또한 그는경상도 지역에서 명망이 있었기에, 1895년 을미의병 당시 중앙정부가파견한 관리와 함께 의병에게 해산을 설득하는 데 참여했다. 한편, 그는 상주지역에서 사족을 중심으로 의병이 구성되지 못하자, 다른 지역의 의병에 군량을 보내고 인적 영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19세기 말 상주 사족 사회는 중앙정부의 개혁정책에 비판적이었지만, 성리학적 질서 유지와 관련해서는 동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상주를 중심으로 의병이 조직되지 않은 것은 정의묵 등 유력가문 인물의 중재자적 정치 성향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그들이 중앙정부의 개혁에 찬성했던 것은 아니다. 정의묵 등은 그들의 위상과 영향력을 토대로 의병을 간접적으로 지원했다. 이러한 모습은 19세기 말사족 사회가 개인의 위상과 영향력에 기대어 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ocial changes of the Sajok(士族) in Sangju, Gyeongsang-do, through the activities of Jeong Eui-muk from an prominent family in Sangju in the late 19th century who also held high-ranking central government posts. The Jinju Jeong family and the Pungsan Ryu family of Sangju maintained and developed marital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becoming prominent families in the local Sajok society of Sangju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two families continued their efforts to advance into the central government and elevated their status in the local Sajok society by producing government posts. A member of prominent families who held central government posts were regarded as key links to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se families, the local Sajok society could express political opinions to the central government or maintain their status within the local society. These activities were carried out within the framework of maintaining the NeoConfucian social order, and therefore did not lead to conflicts with the central government. Jeong Eui-muk, a representative figure of an prominent family in the late 19th century, served as Dongbu Seungji(同副承旨)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gained experience in high-ranking posts. Although he did not display any distinct political actions, his experience and personal connections in the central government served as a foundation for exerting influence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 local society.
    n 1894, the central government appointed Jeong Eui-muk as the Somosa(召募使) of Gyeongsang-do to promote stability in the local society. Jeong Eui-muk encountered conflicts with the local gentry of Sangju and the central government, but he was able to carry out his duties as Somosa based on his stature, influence, and the mediatory political disposition he learned from his family and mentors. Additionally, due to his reputation in the Gyeongsang-do, he participated in persuading the righteous army(義兵) to disband alongside officials dispatc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1895. Meanwhile, when the righteous army was not formed in Sangju, he sent military supplies to the righteous army in other regions and indirectly supported them through his personal influenc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Sajok society in Sangju was critical of the central government’s reform policies but showed agreement when it came to maintaining the Neo-Confucian order. The reason why the Righteous Army was not organized around Sangju is largely due to the mediatory political stance of prominent families such as Jeong Eui-muk.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y supported the central government’s reforms.
    Jeong Eui-muk and others indirectly supported the Righteous Army based on their status and influence. This illustrates how the gentry socie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underwent changes relying on individual status and influ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