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에 나타난 대외인식 (A Study on the Foreign Perceptions in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in Late Jose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한말 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에 나타난 대외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화연구 / 20권 / 139 ~ 172페이지
    · 저자명 : 임이랑

    초록

    1895년 한국 최초의 국사교과서인 『조선역사(朝鮮歷史)』가 학부(學部) 주도로 편찬된 이래 1910년 한일병합 때까지 약 20여 종의 국사교과서가 간행되었다.
    국사교과서의 근대사 서술에 나타난 대외인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우선 중국에 대하여 정치적 주권 확립을 주장하면서도 전통적 유교사관을 완전히 탈피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또 중국에 대하여서는 지나치리만큼 독립을 강조하면서도 일본에 대해서는 비교적 우호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일본 제국주의와 식민사학의 무비판적 수용이라는 비판을 받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일본의 영향을 받아 교과서의 내용이 상당부분 왜곡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1908년을 기점으로 통감부는 노골적으로 교과서정책에 개입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교과서의 내용도 시기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나타냈다. 청은 무능하고 부패하며 조선을 압제하는 존재로서의 이미지가 강화되는 한편, 일본은 우호와 선진적 존재 심지어는 구원의 존재로서 이미지가 미화되고 있다. 러시아로 대표되는 서양에 대해서도 열강의 각축을 견제할 수 있는 존재에서 결국은 한국을 삼키려는 백인종으로 묘사되면서 일본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존재로 전락하였다.
    교과서 내용상의 한계는 통감부의 통제정책이 가장 큰 이유였지만 한편으로는 사회진화론과 일본 역사서의 영향을 직간접으로 받았던 저자들의 상황에서도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국사교과서의 편찬을 주도했던 대표적 인물들은 현채, 정인호, 류근, 안종화 등으로서, 당시 애국계몽운동을 펼치던 지식인 계층이었다.
    한말 국사교과서는 편찬 당시나 지금이나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자국사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체계화하려 한 점, 근대 역사학의 새로운 체제를 도입했다는 점, 자주의식 확보에 노력했다는 점 등은 간과되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따라서 한말 역사교과서는 사회진화론에 경도되었던 지식인들이 역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서술한 과도기적 교재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bout 20 kind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from 1895 when Korea’s very first Korean history textbook Joseon History was pu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faculty to 1910 when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ook 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perceptions in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in those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as follows:first, while they claimed the nation’s political sovereignty should be obtained against China, they failed to completely graduate from the conventional Confucius ideas of history. They put almost too much emphasis on independence from China but took relatively favorable positions towards Japan, which became the ground behind the criticism that they accepted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 history with no critique.
    Secondly, a considerable portion of the textbook content was distorted under the Japanese influence. Starting in 1908, the Tonggambu(통감부) began its overt intervention into Joseon’s textbook policies. As a result, subtle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xtbook conte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periods. While Qing Dynasty had its image reinforced as the neighbor that was impotent and corrupt and suppressed Joseon, Japan was beautified as the country that was friendly, advanced, and even would save Joseon. Represented by Russia, the West began as the party that would keep the competition among the world powers in check but became the party to justify Japan’s intervention, being described as the whites trying to swallow Joseon up.
    The biggest reason behind the limitations with the textbook content was the Tonggambu’s control policy, but some clues are found in the situations of the authors who were under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Japanese history books. The major figures that led the publication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Hyeon Chae(현채), Jeong In-ho(정인호), Ryu Geun(류근), and Ahn Jong-hwa(안종화), who were the intellectuals that engaged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published in late Joseon were bombarded by criticisms at the time of publication and still are even today. However, they should be recognized for trying to raise interest in Korean history and systemize it, introducing a new system for modern history science, and making efforts to establish independent consciousness in Korean people. Thus they should be understood as transitional textbooks written by intellectuals who were overwhelmed by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lacked capabilities in textbook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