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입말, 문자, 언어권력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among Spoken Language, Characters, and Language Power Contained in Oral Folktales)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2.12
41P 미리보기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입말, 문자, 언어권력의 상관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35호 / 151 ~ 191페이지
    · 저자명 : 최원오

    초록

    본 논문은 구비설화에 말 겨루기[시합], 문자 및 글을 소재로 한 글 겨루기[시합]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들이 갖는 언어권력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일까, 그리고 이것은 말에 부여된 예술적 가치와 어떤 상관성을 갖는가를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입말’과 언어권력 관계의 고찰을 통해 비의적(秘儀的) 말하기, 기지적 말하기, 대꾸적 말하기의 유형을 제시하고, 그러한 말하기가 일상적 말하기에 비해 특별한 능력이 요구되는 말하기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그에 부합하는 보상이 수반되고 있는바, 이는 이들 말하기가 일상적 말하기에 비해 갖는 언어권력적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말하기 유형은 구비설화에 갈무리된 ‘문자’와 언어권력의 관계를 살피는 데서도 거의 그대로 확인된다. 그래서 한 구비설화에서 입말과 문자를 수단으로 한 말하기가 모두 사용되는 경우에는 어떠할까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둘의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제기된다. 그 결과 문자의 우위를 얘기하고 있는 몇몇 설화에서 확인되는, ‘유식/무식’의 구분과 그에 따른 차별 및 인간 예속화는 실제적 반영이라기보다는 ‘사물화된 문자’를 통찰한 결과로 파악할 수 있다. 문자나 글의 사용여부와는 상관없이 구비설화의 말 겨루기는 사물의 이치를 관통하는 통찰력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말에 부여된 언어권력과 그 본질의 예술화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구비설화에서의 말 겨루기를 통해 가장 잘 구현되고 있다. 따라서 구비설화에서의 말 겨루기는 ‘말에 부여된 언어권력’을 예술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문학적 장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in what aspects speaking competition and text competition with characters and writings as subject matters appear, and what the essential meaning of language power they have is. Showing types of speaking including mystic, witty, and responsive speaking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poken language’ and language power contained in oral folktales, it make a point that such types of speaking require special capacities in comparison with routine speaking. Also, given that corresponding warrants follow, this suggests those types of speaking have some sort of language power more in comparison with the routine speaking. However, those types of speaking are identified almost without differences when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language power contained in oral folktales. Thus, the necessity is rais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oken language and characters by discussing what would happen when both of them are used in speaking. As a result, we can tell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learnedness and ignorance seen from some folktales that suggest the superiority of letters, and consequent discriminations and subjugation are results from some insight of objectified characters rather than reflection of reality. Thus, regardless of use of characters or texts, the speaking competition cannot help put importance on the insight penetrating the reason of prov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