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의 제주 문화 인식 (Cognition of a Catholic Priest of Joseon(朝鮮) of Juju(濟州) Cultur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8.04
32P 미리보기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의 제주 문화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0권 / 2호 / 135 ~ 166페이지
    · 저자명 : 김선필, 김치완

    초록

    제주 섬 전체가 개발 광풍에 휩싸여 있는 이유는 제주 사람이 아닌 ‘타자(他者)’에게서 찾아야 한다. 지금까지 제주를 척박한 땅으로 호명했던 것도, 신자유주의가 비껴난 핫플레이스로 호명하고 있는 것도 타자이기 때문이다. 제주 사람은 타자들의 이러한 호명에 충실하게 응답할 뿐 아니라, 스스로를 소외시킨다. 이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에서 제주사회에 서구적 근대성이 침투하기 시작한 한말시기에 주목하려고 한다.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주 사람의 인식은 서구적 근대성에 기초한 한국사회의 근대화, 산업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가 제주를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통해서 문제점의 원인을 파악하려고 한다. 한말 천주교회 조선인 성직자는 천주교 신앙과 서구식 교육을 통해 서양적 가치관과 지식을 내면화한 인물이라는 독특한 정체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 점을 밝히기 위해, 우선 한말 천주교회의 선교지 인식과 제주사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하였다. 당시 서양인선교사들의 눈에 비친 조선과 제주가 계몽과 구원의 대상이었다는 점은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조선인 성직자들에게서 이런 인식이 좀 더 강화된 형태로 드러난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조선인 성직자들의 양성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양성된 조선인 성직자들 가운데서 특히 1899년에 제주도에 최초로 파견된 김원영 신부의 저서인 『수신영약(修身靈藥)』을 분석하였다. 이 책에서는 제주의 풍습과 민간신앙을 다루고 있는데, 서양인보다도 오히려 더 계몽주의적 태도로 조국 조선을 평가하면서 조선의 변방인 제주를 이해하는 조선인 성직자의 태도가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이를 통해 중심부로부터 제주사회에 이식된 타자의 시선의 실체와 내용을 짐작해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eason why the whole Jeju island is overwhelmed by development craze should be found not by Jeju residents but by ‘others.’ It is because others had been calling Jeju a barren land and a hot place where neoliberalism deviated. Jeju residents not only sincerely respond to the call of others but also estrange themselves. From the critical mind, this study is going to pay attention to the late period of Joseon when western modernization infiltrated. It is because the cognition of Jeju residents that development is required was created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based on western moderniz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problems through the cognition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of Jeju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It was because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in the last Joseon has a unique identity that they internalized western values and knowledge through the Catholic religion and western education. In order to disclose this point, this study reviewed the cognition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in the late Joseon and the Juju society. At that time, it was not new at all that Joseon and Jeju considered by the western missionary were the objects for enlightenment and salvation. However, it examined the training course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asons why this cognition of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became reinforced, In particular, Susinyeongyak(修身靈藥) written by priest, Wonyeong Kim(金元永, 1869-1936), who was dispatched for the first time to Jeju in 1899 was analyzed among the Catholic priest of Joseon trained in this way. This book handled the customs and folk beliefs of Jeju, evaluated Joseon in a more enlightened attitude than Westerners, and clearly described the attitude of a Catholic priest of Joseon, who understood Jeju, a backwater of Joseon. Through this, the actual conditions and contents of other’s viewpoint implanted into the Jeju society from the center can be gue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