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말~18세기 초 風格批評의 중국 詩話 수용 양상 - 金錫胄, 洪萬宗, 金漸의 비평을 중심으로 - (Study on Joseon’s Acceptance of Chinese Sihwa (詩話) in Stylistic Criticism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10
28P 미리보기
17세기 말~18세기 초 風格批評의 중국 詩話 수용 양상 - 金錫胄, 洪萬宗, 金漸의 비평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50호 / 232 ~ 259페이지
    · 저자명 : 조결

    초록

    중국에서 시작된 風格批評은 중요한 문학 비평 방식으로, 한국의 한시비평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金錫胄, 洪萬宗, 金漸 등의 비평가들은 宋代 敖陶孫의 「臞翁詩 評」과 明代 王世貞의 「國朝詩評」을 비롯한 중국 詩話를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그리하여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비유를 사용한 형상적인 풍격비평을 전개했다. 본고는 김석주, 홍만종, 김점의 풍격비평을 대표하는 『玄湖鎖談』, 『小華詩評』, 『西京詩話』 등의 시화서에 주목하고 17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의 한시 풍격비평에서 나타난 중국 시화의 선택적 수용과 변주를 검토하겠다. 그리하여 이전 시대의 풍격비평과 구별되 는 새로운 비평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排比와 博喻 수법을 통한 대규모의 일관적 비평 방식은 당대 조선 시화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홍만종과 김석주의 시평은 한결같이 四言二句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기에 형식미와 운율미를 느낄 수 있다. 김점의 시평이나 南龍翼의 시론은 ‘如~+又如~’의 구조를 보이는 박유의 방식으로 복합적 意象을 사용하여 풍격 특징의 복잡한 성격을 제시하면서 작품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미감을 보여주었다.
    또한, 비평가들은 추상적인 풍격과 생동적이고 구상적인 의상을 연결하여 비평 대상의 내적 風神과 작품 전체의 운치를 비유적으로 표현했다. 추상적 개념어를 통해 야기되는 의미 전달의 모호성을 보완하면서 비평가의 다양한 심미적 인식을 독자에게 섬세하게 전달했다.
    끝으로, 비평가들은 自然·典故·人物 등 구체적인 의상을 활용하여 형상적인 풍격비평을 전개했다. 특히 복잡한 인물이나 전고 등의 의상이 다양하게 인용됨에 따라 더욱 복합적인 풍격비평이 부각되었다. 이는 풍격비평이 더욱 원숙한 단계에 들어섰 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17세기 말~18세기 초의 풍격비평은 집중적·연속적으로 비평하면서 구체적인 의상을 활용하여 구상적인 비평을 본격화했다. 무엇보다 이러한 비평 방식은 漢詩·時調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조선의 시문을 대상으로 한 문학비평 외에도 서예·회화 등 다양한 영역의 비평으로까지 확장되었다. 이런 점에서 17세기 말~18세기 초의 풍격비평은 매우 독자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Stylistic criticism, which originated in China, became an important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and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orean classical poetry criticism. In particular, critics such as Kim Seok-ju (金錫胄), Hong Man-jong (洪萬 宗), and Kim Jeom (金漸) adopted Chinese poetic discussions, including Ao Taosun’s (敖陶孫) Quwengshiping (臞翁詩評) from the Song Dynasty and Wang Shizhen’s (王世貞) Guochaoshiping (國朝詩評) from the Ming Dynasty, and incorporated them positively into their work. They used intensive and continuous metaphorical style criticism to depict the figurative elements of poetry. This paper examines the selective adaptation and variation of Chinese poetic elements in Korean poetry criticism, focusing on works such as the Hyeonhosoekdam (玄湖鎖談), Sowhashipyung (小華詩評), and Seokgyeongsihwa (西京詩話),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he style criticism of Kim Seok-ju, Hong Man-jong, and Kim Jeom. The aim is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new form of criticism, which emerged in the late 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 centuries, and to distinguish it from earlier stylistic criticism.
    First, in the field of Chinese poetry criticism, there is a notable presence of large-scale and concentrated style criticism that employs parallelism and sustained metaphor. This style of criticism first found expression in Korean poetry. In particular, the criticism of poets such as Hong Man-jong and Kim Seok-ju is composed of meticulously structured four-character sentences that re imbued with the beauty of form and poetic rhythm. Meanwhile, the poetry criticism of Kim Jeom and the poetic theories of Nam Yong-ik (南龍翼) use a structure characterized by phrases such as “such as ~ + another such as ~” to create expansive metaphors. This technique allows them to unravel the intricate aspects of stylistic features and reveal a variety of aesthetic nuances in the works.
    In addition, critics combine abstract poetic styles with vivid and concrete imagery, which vividly reveals the inner spirit of their criticism and the overall charm of the works. The ambiguity resulting from the abstract nature of the concept of style is refined, and the critics’ rich aesthetic knowledge is delicately conveyed to the readers. In particular, the critics not only actively show the diversity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oetic styles, but also point out the shortcomings of these styles, providing a critical perspective that illuminates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ir craftsmanship. This reflects the critics’ keen awareness of the critical process.
    In the field of Chinese poetry criticism, critics have used a variety of specific images, often drawing from nature, using allusions, and dissecting characters to engage in image-style criticism. By citing a variety of intricate character images and classical references, they have emphasized a more comprehensive and three-dimensional approach to style criticism. This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style criticism tended toward greater maturity and perfection.
    In conclusion, from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o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style criticism used specific images to construct vivid metaphors, leading to more precise and sustained representational criticism. Significantly, this method not only had a lasting impact on literary criticism, but also extended its influence to Korean poetry. It also left its mark on criticism in various artistic fields, including calligraphy, painting, and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