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후반 동북항일연군의 활동과 在滿韓人 -동북항일연군의 (한·중)민족연합적 성격 再論- (Re-assessment of the Interethnic Collaboration between Koreans and Chinese-Activities of the Northeast Anti Japanese United Army and the Role of Koreans in Manchuria during the Late 1930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08
46P 미리보기
1930년대 후반 동북항일연군의 활동과 在滿韓人 -동북항일연군의 (한·중)민족연합적 성격 再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83호 / 5 ~ 50페이지
    · 저자명 : 장세윤

    초록

    東北抗日聯軍은 1931~32년 사이에 일본의 중국 동북지방(만주)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중국공산당 주도로 조직된 항일유격대와 1933~36년 전반기까지 활동한 동북인민혁명군 등을 기반으로 1936년 중반에 성립한 중국 동북지역의 항일연합부대를 말한다. 이 부대에 많은 韓人(조선인)들이 참가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중 양 민족의 연합 항일투쟁이 본격화하였다.
    종래 중국학계와 정계에서는 동북항일연군이 사실상 중·한 양 민족의 연합부대였고, 김일성·최용건 등 중국 동북지역(만주) 한인들의 역할이 매우 컸다고 평가하였다. 그런데 2000년대 이후 중국학계 일각에서 이러한 인식과 다른 새로운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중국 華東사범대학 郝江東은 최근 중국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종래의 견해를 사실과 다른 정치적 해석이라고 비판하였다. 또 중국의 유명한 중국-북한관계 전문가 沈之華는 최근 저서에서 1930년대~40년대 초 만주에서의 한인들의 활동을 ‘朝鮮族’의 활동으로 서술하여, ‘中華민족’ 형성의 前史로 간주하는 시각을 드러냈다. 한편 중국 延邊학계에서도 종래 한인들의 ‘이중사명론’을 부정하는 저서가 나왔다. 이 시기 재만한인들이 중국혁명과 ‘중화민족’의 해방을 위해 공헌했다고 평가한 것이다. 이는 종래 재만한인들이 ‘중국혁명’과 함께 조선(한국)독립이나 조선혁명을 위한 임무도 지녔다는 주장을 바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최근 중국학계 일각의 주장은 비판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다. 1930년대 후반~1940년대 초 만주(중국동북 지방)에서 활동한 동북항일연군과 이 부대에 참가한 한인들은 중국공산당과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지만, 항일민족통일전선의 기치 아래 ‘조선독립’·‘조선혁명’을 위해 분투하기도 했다. 동북항일연군은 분명 한·중 양 민족의 연합부대라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사와 한국독립운동사, 나아가 한인(한민족) 이주사(한인 Diaspora)의 입장에서 우리의 역사로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중국학계의 동북항일연군 연구 심화와 대량의 연구업적 산출과는 대조적으로 한국학계의 이 분야 연구 부진은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다. 추후 한국학계에서 동북항일연군과 재만한인들 관련 연구·교육을 심화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Northeast Anti-Japanese United Army(東北抗日聯軍, NEAJUA) was established in mid-1936, building upon the foundation of the Northeast People’s Revolutionary Army(NEPRA). This preceding organization was formed in 1933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o counter Japan’s invasion of Manchuria, China’s northeastern region. The united front drew a considerable number of Korean participants, amplifying the collaborative resista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aggression by both the Korean and Chinese communities.
    Historically, both Chinese academia and political arenas recognized the army as a joint effort of the two ethnicities, underlining the substantial contributions made by notable Korean personalities from Manchuria, such as Kim Il-sung and Choi Yong-kun. Yet, from the early 2000s, alternative interpretations began to surface within the Chinese scholarly circles. Notably, Professor Hao Jiangdong of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has critiqued the prevailing narrative as a political distortion. In a related vein, Shen Zhihua, an authority on Sino-North Korean ties, has recently portrayed the activities of Koreans in Manchuria during the 1930s and 40s as endeavors of the Chaoxianzu(Korean ethnic group in China), framing it as a precursor to the formation of the Zhonghua(中華) ethnic concept. Further research from Yanbian also contests the long-standing “Dual Mission Thesis,” suggesting that Koreans in Manchuria at the time were primarily contributing to the Chinese revolution and the emancipation of the Zhonghua ethnicity, thereby challenging the idea that they concurrently aimed for Korean independence and revolution.
    Nevertheless, these shifting perspectives within Chinese scholarship necessitate a meticulous re-examination. The contribution of the Northeast Anti-Japanese United Army and its Korean members to the resistance movements of the late 1930s to early 1940s ought to be fully recognized and incorporated into Korean historical narratives, the chronicle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on a larger scale, the Korean diaspora’s story. Despite the prolific body of recent research emerging from Chinese academia on this topic, there exists a disconcerting void in Korean scholarship in this domain. As such, there’s an imperative need for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to intensify its research and pedagogical endeavors concerning the Northeast Anti-Japanese United Army and Koreans in Manchuri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