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성기 실어증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Kinect 음성인식 프로그램 개발 (The Effects of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for Language Rehabilitation in Patientswith Chronic Aphasi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2.12
19P 미리보기
만성기 실어증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Kinect 음성인식 프로그램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언어치료연구 / 21권 / 4호 / 35 ~ 53페이지
    · 저자명 : 신혜란, 김형순, 권순복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실어증 연구에서 효과가 입증된 언어 치료강도와 치료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개발한 Kinect 음성인식 단어이해 및 단어 명명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Kinect 음성인식 프로그램이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동작 및 음성인식 센서인 Kinect를 만성기 실어증 환자의 언어재활을 위한 단어 이해 및 단어 명명 훈련 목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연동시킨 세계 최초의 언어재활 도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메타 분석 연구를 통해 입증된 실어증 환자의 언어재활에 효과 있는 치료강도인 한회기 1시간의 치료의 강도 및 시, 청각 순차 자극을 병행한 인지언어 치료방법을 국내 재활병원의 현실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Kinect 음성인식 단어이해 및 단어 명명 훈련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뇌기능 중 언어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만성기 실어증 환자가 센서기기와 컴퓨터기기를 사용해야하는 Kinect 음성인식 단어이해 및 단어 명명 훈련 프로그램 의 치료 방법과, 치료강도에 적응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적응성공률을 측정하였고, Kinect 음성인식 단어 이해 및 단어 명명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명명하기 능력이 향상되는 지 알아보기 위해 훈련단어의 정반응률, 회기별 정반응 평균, 그림 대면 명명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진전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소재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으로 인해 좌반구 손상이 발생한 40대 남녀 3명의 브로카 환자로 4주간 주 3회 1회기 1시간의 치료강도로 8∼9회기에 걸쳐 Kinect 음성인식 명명하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훈련을 실시하였다. 적응 훈련 성공률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상 속도에 서 차이는 있었으나 참가자 A, B는 100%, C는 50% 이상의 향상이 있었고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센서를 조절하는 행동양상도 나타났다. 각 참여자에게 매 회기 쉬는 시간 없는 1시간의 치료강도가 적용되었다. 각 참여자의 훈련기간 종료 2∼4주 후 실시한 사후 평가에서 참여자 A는 39에서 45로 6점, 참여자 B는 36에서 47로 9점, 참여자 C는 16에서 21로 5점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Kinect 음성인식 단어 이해 및 단어 명명 훈련 프로그램으로 치료 강도를 높이면 만성기 실어증 환자의 명명하기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 for language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aphasia.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 is the world’s first computer program for language rehabilitation. It was developed by this study’s author and was interworked for languag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aphasia with Microsoft's Kinect motion and voice recognition sensor. In this study,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 was adapted to fit the environment of South Korea's rehabilitation hospitals to apply effective intensity for one-hour per session and the cognitive linguistics method with sequential audio-visual stimuli of the speech-language rehabilitation for chronic aphasia patients that were proven by earlier foreign studies using meta-analysis. To investigate whether chronic aphasia patients, who are known to decline in general cognitive functions, can handle the Kinect sensor and complete an intense one-hour session, the following factors were measured: adaptability rate, right answer rate, and reaction time.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pre-naming assessment and post-naming assessment of K-WAB were investigated for Kinect sensor and naming training program after speech-language therapy using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 The subjects with chronic aphasia in the 40s were elapsed more than one year after onset. Each participant received picture naming training using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 three times a week (one hour/session). After a total of 8-10 sessions for each participant, the score of post evaluation for naming of K-WAB increased six points in case of A, nince points in case of B, five points in case of C copmared with the pre-evaluation for naming of K-WAB. The adaptability rate and the right answer rate increased, but the reaction time decreased steadily. Therefore,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Kinect speech recognition program effectively influences improvements of speech-language ability for patients with chronic aphasia by augmenting the inten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언어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