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玄黙子 洪萬宗의 『靑丘永言』 編纂에 관하여―新發見 洪萬宗 著述 『覆瓿藁』의 「靑丘永言序」 및 「梨園新譜序」를 중심으로 (On Hong Man-Jong's Cheonggu Yeongeon (Everlasting Words of the Green Hill), an Anthology of Korean Sijo Poems : A Study of Preface Sections of Cheonggu Yeongeon and Iwon Shinbo Edited in a Newly-foun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8.03
29P 미리보기
玄黙子 洪萬宗의 『靑丘永言』 編纂에 관하여―新發見 洪萬宗 著述 『覆瓿藁』의 「靑丘永言序」 및 「梨園新譜序」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61호 / 319 ~ 347페이지
    · 저자명 : 김영호

    초록

    본 논문은 필자가 새로 발견한 洪萬宗의 『覆瓿藁』(未刊行 著者親筆校正本, 筆者所藏)에 실린 『靑丘永言』 序文과 『梨園新譜』 서문의 分析을 통하여 「청구영언」의 원편찬자는 기존에 알려진 金天澤이 아니라 洪萬宗임을 밝힌 것이다.
    홍만종 「청구영언서」와 「이원신보서」 발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구영언」은 홍만종에 의해 편찬되었으며 김천택이 전면적인 수용 또는 표절하였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다.
    둘째, 「청구영언」의 편찬경위, 의도 등에 대해 저자의 육성을 통해 직접 들을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청구영언」의 속편인 「이원신보」가 있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넷째, 漢詩批評家로서의 홍만종에 대한 기존의 평가 이외에 새로운 평가 및 한국문학사의 확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다섯째, 「청구영언」과 관련된 <金得臣序文> 및 「旬五志」와의 관계 등 기존의 의문이 대부분 해결되었다.
    여섯째, 「청구영언」 서문을 통해서 17세기에 이미 양반 사대부에 의해 정형적인 가집의 편찬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argue that the sijo collection of Cheonggu Yeongeon was not actually edited by Kim Cheon-taek but by Hong Man-Jong. I will identify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preface sections of Cheonggu Yeongeon and Iwon Shinbo, both of which had been assumedly edited in Bubugo, a newly-found Hong Man-Jong's literary anthology.
    My task in this article is worth to point out a range of implications that the newly-found prefaces enlisted in the anthology, including the preface of Cheonggu Yeongeon, will substantially have on Korean studies: first, they are the real proof that Cheonggu Yeongeon was edited by Hong Man-Jong, and it may raise substantial questions about the authorship of Kim Cheon-taek's Cheonggu Yeongeon; second, the prefaces explain the intention and the process of the anthology by the author's voice itself; third, the prefaces show that Iwon Shinbo is the sequel to the anthology; fourth, the prefaces help to make it possible to give a new evaluation to Hong Man-Jong himself as well as to lay out a new scene in an enlarged Korean literary history; fifth, the prefaces will help to solve all the unanswered questions related with Cheonggu Yeongeon; lastly, the prefaces show that anthology-making set in a standard type already maintained a vigorous presence among the Korean upper and upper middle-class families in the 17th century.
    I will go on arguing that Hong Man-Jong's Cheonggu Yeongeon was not organized according to the musical modes to which Korean sijos or song lyrics were set, nor did he mention it in the preface. What interests me next is that the style and the reference point in each self-introduction mentioned in the notes of Cheonggu Yeongeon make the text most likely attribute to Hong Man-Jong Himself. Thirdly, there could not be much addition by Kim Cheon-taek who presumably augmented the original text, while assuming that Kim actually lived in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an Hong did. Highly probable, therefore, is the fourth point that a range of alleged Sijo poems attributed to Kim in Jinbon Cheonggu Yeongeon had been presumably claimed into his own without adequate acknowledgement of the original authorship. Lastly, I will point out that Haedong Gayo attributed to Kim Su-Jang had been most likely derived from Hong's anthology. I, therefore, expect that the newly-found preface sections of Cheonggu Yeongeon and Iwon Shinbo will help to provide further intellectual stimulation for vigorous discussion about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