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내교의 「김택보 만최 묘지명(金澤甫 萬㝡 墓誌銘)」에 나타난 정체성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 of Identity in 「Kim Taekbo Man-Choi Epitaph」 by Jeong Nae-Gyo)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6.09
35P 미리보기
정내교의 「김택보 만최 묘지명(金澤甫 萬㝡 墓誌銘)」에 나타난 정체성의 변화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13호 / 179 ~ 213페이지
    · 저자명 : 김경회

    초록

    본고는 정내교의 「김택보 만최 묘지명」을 타자와의 소통 전후를 기준으로 분석하여 김만최와 가죽 장인 또는 어떤 사람의 관계를 이해하고 감성의 정화 및 정체성 변화의 과정과 결과를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의 성찰과 정체성의 변화에 타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먼저 김만최는 자신의 불우한 처지에 대한 불만으로 방자히 행동하였지만, 가죽 장인의 부탁 또는 어떤 사람의 풍자를 통해 자신의 과거 언행을 깊이 반성하며 눈물을 흘린 후 유협의 삶을 살았다. 이처럼 김만최가 감정을 정화하면서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가죽 장인 또는 어떤 사람 즉 타자 덕분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자아의 정체성 변화와 그것의 결정적 매개체인 타자의 모습은, 인간적 상결을 근간으로 새로운 가치를 지향하고 새로운 사회의 건설을 추구한 당대인의 현실 극복 의지를 뜻하였다. 또한 자아인 김만최가 가죽 장인 또는 어떤 사람이라는 타자와의 소통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정화하면서 과거를 반성하고 정체성을 정립한 사실을 바탕으로, 자아의 성찰과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존재는 자아와 동등한 실재인 타자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Analyzing 「Kim Taekbo Man-Choi Epitaph」 by Jeong Nae-Gyo on the basis of the front and the back of communication with someone, I understood the relation between Kim Man-Choi and the leather craftsman or someone, and comprehended the process and result of purification of sensibility or the change of identity, and then argued the role of the other was vital to introspection and identity formation of self. First of all, Kim Man-Choi rudely acted because of a grievance against adverse circumstances of him, but through request of the leather craftsman or satire of someone he regretted his words and actions in the past and lived life of chivalrous person. Thanks to the leather craftsman or someone, Kim Man-Choi could purified sensibility, introspect his life and establish his identity. The figure of change of identity of self and the other of crucial medium meant ordinary people’s will to overcome actual reality, and they aimed a new set of values and constructed new society on the basis of humane union.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I confirmed that other who was equal to self had an important bearing on introspection and identity formation of self.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