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접촉의 시대에서 바라본 접촉의 의미 ― 마가복음 1장 40-45절의 예수와 나병 환자의 접촉을 트라우마 치유의 관점에서 읽기 (What is Contact in the Contactless Era? — Reading the Story of the Contact between Jesus and the Leper (Mark 1:40-45) from the Perspective of Trauma Therap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0.12
33P 미리보기
비접촉의 시대에서 바라본 접촉의 의미 ― 마가복음 1장 40-45절의 예수와 나병 환자의 접촉을 트라우마 치유의 관점에서 읽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사상 / 191호 / 15 ~ 47페이지
    · 저자명 : 이서영

    초록

    코로나19(Covid-19) 팬데믹(Pandemic)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조되는 시기에 마가복음 1장 40절부터 45절의 나병 환자 이야기를 통하여 접촉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론적으로 트라우마 치유 관점을 이용하여 예수와 나병 환자의 접촉이 어떻게 나병 환자의 삶을 새롭게 하였는지 해석한다. 이에 앞서 문화 인류학적 관점에서 유대 정결례가 규정한 사회적 경계를 넘어 새로운 사회적 가치와 질서를 확대하는 행위로서 예수의 접촉을 살펴본다. 더불어 치유 기적의 관점에서 하나님의 구원과 현현을 체험하는 상징으로서 예수의 접촉을 파악한다. 그러나 위의 두 관점은 예수가 누구인지 밝히는 기독론적 의미를 중심으로 예수의 접촉을 해석하였기에 병자를 중심으로 접촉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한계를 보인다. 트라우마 치유 시각에서 나병 환자는 육체적 그리고 사회적으로 죽음, 배척, 혐오를 경험하며 유대의 정결 경계선 밖으로 밀려난 트라우마 피해자이다. 그러나 예수와의 접촉을 통하여 나병 환자는 자신을 부정한 자로 규정하는 유대 사회의 현실을 대면하게 된다. 그리고 자신의 거짓된 정체성을 벗어나 개인적, 사회적으로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예수와의 접촉 이후 나병 환자는 예수와 기적 사건 그리고 자신의 이야기를 증언하는 증언자로서 사회와 이웃과의 관계를 새로이 확립하며 그의 삶을 이어간다. 이러한 해석과 함께 본 소고는 코로나19 이후 교회의 세상과 사람을 위한 접촉이 위기에 빠진 사람들을 포용하고 그들의 삶을 복음과 함께 증언하는 것으로 전환하기를 제안한다.

    영어초록

    In this contactless era after the Covid-19 outbreak, this article interrogates the contact between Jesus and a leper in Mark 1:40-45 in terms of trauma therapy. Before exploring the main idea, Jesus’ contact with the sick in Mark is explained from two perspectives: 1) the anthropological concept and 2) the therapy skills for Jesus’ miracle. In the anthropological manner, Jesus’ contact with the unclean patients and sinners is understood as Jesus’ crossing social and cultural boundaries of Judean society set by purity laws. Jesus’ touching as a caring skill in the miracle stories symbolizes the ways in which people around Jesus experienced God’s grace. However, this approach to understanding Jesus’ healing miracles seeks to explain who Jesus is in terms of Christology. They do not understand Jesus’ touching from the viewpoint of the unclean people.
    Methodologically, the theory of trauma therapy suggests the conceptual perspectives of the leper: from the contact with Jesus what they, as victims of trauma, are able to rethink their place in society and change their harsh lives.
    With these research points, this paper argues that the leper, after his contact with Jesus, was empowered to confront and challenge the social system under the purity law. Jesus’ touch causes him to raise doubts about the delusional ideology of the purity system which defined the leper as unclean, and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his new life as a clean person. His contact with Jesus redefines his life as a witness telling the truth of the Jesus healing event. When he testifies about the contact between Jesus and himself in a public space, his life can be affi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