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샹까라의 체계에서 범아일여의 의미와 양상: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을 중심으로 (The Meanings and Aspects of the Identity between Brahman and Ātman in Saṅkara’s System: Focusing on Brahmasūtra-bhāṣy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0.08
34P 미리보기
샹까라의 체계에서 범아일여의 의미와 양상: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도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철학 / 59호 / 75 ~ 108페이지
    · 저자명 : 박효엽

    초록

    우빠니샤드의 ‘범아일여’(梵我一如)라는 가르침은 후대에 샹까라에 의해 확립된 것이라고 인정되는 편이다. 그럼에도 그가 『브라흐마 수뜨라 주석』(BSBh)과 같은 텍스트에서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우주의 궁극적인 실재인 브라흐만과 개인의 진정한 자아인 아뜨만 사이의 동일성’이라는 의미의 범아일여를 제시하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BSBh에서 범아일여와 관련된 채로 등장하는 복합어들은 ‘A와 B는 같다’는 뜻보다 ‘오직 A=B만이 존재한다’는 뜻으로서 ‘동일성의 논리’보다 ‘유일성의 논리’를 따른다고 이해된다. 둘째, BSBh에서는, ‘본질의 동일성’이 즉 개별자아의 본질이 오직 브라흐만/아뜨만이라는 것이 핵심 가르침으로 알려지고 ‘본질의 동일성’이 ‘아뜨만의 유일성’과 다르지 않고 또 ‘아뜨만의 유일성’과 같은 표현이 범아일여와 관련된 표현들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미의 범아일여가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는다. 셋째, 결국 BSBh의 범아일여는 유일성의 논리에 따라 ‘개별자아는 유일한 브라흐만/아뜨만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라는 뜻이다. 넷째, 이 범아일여는 ‘명시적으로’ 두 가지 양상으로 제시되는데, 그것은 해탈의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본질의 동일성으로서 범아일여’와 해탈의 결과라는 관점에서 ‘유일성으로서 범아일여’이다. 다섯째, 범아일여의 명시적인 두 양상에는 ‘대우주적 실재인 브라흐만과 소우주적 실재인 아뜨만의 동일성으로서 범아일여’(범아일여의 일반적인 의미)라는 또 하나의 양상이 ‘암시적으로’ 가정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BSBh에서는 범아일여의 이와 같은 세 가지 양상들이 미묘하게 혼합된 채로 제시된다고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teaching of Upaniṣads known as ‘brahma-ātma-ek-atva/aikya’ (梵我一如) is more than accepted as being establi-shed by Śaṅkara in the later. However, it is worth examining whether he presents the generally known meaning of ‘brahma-ātma-ekatva/aikya’ that Brahman i.e., the ultimate reality of the universe and Ātman i.e., the true self of the individual are the same in text such as Brahmasūtra-bhāṣya (BSBh).
    As a result, the following several points can be confirmed.
    First, in BSBh, compound words related to ‘brahma-ātma-ekatva/aikya’ are understood to follow ‘the logic of oneness’ rather than ‘the logic of identity’ meaning ‘only A=B exists’ rather than ‘A and B are the same’.
    Second, in BSBh, since ‘the identity of nature’ that the essence of an individual self is nothing but Brahman/Ātman is known as the core teaching, the ‘the identity of nature’ is not different from ‘the oneness of Ātman’, and the expression ‘the oneness of Ātman’ (ātma-ekatva) is as important as the expressions related to ‘brahma-ātma-ekatva/aikya’, as a result, the general meaning of ‘brahma-ātma-ekatva/aikya’ is not explicitly suggested.
    Third, after all, ‘brahma-ātma-ekatva/aikya’ in BSBh means ‘the individual self is essentially the same as the only Brahman/Ātman’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of oneness.
    Fourth, this ‘brahma-ātma-ekatva/aikya’ is explicitly presented in two aspects: ‘brahma-ātma-ekatva/aikya’ as ‘the identity of nature’ from the viewpoint of the process of Liberation and ‘brahma-ātma-ekatva/aikya’ as ‘the onen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sult of Liberation.
    Fifth, the two explicit aspects of ‘brahma-ātma-ekatva/-aikya’ are assumed implicitly to be another aspect of ‘brah-ma-ātma-ekatva/aikya’ as ‘the identity between Brahman i.e., the macrocosmic reality and Ātman i.e., the microcosmi-c realit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in BSBh these three aspects of ‘brahma-ātma-ekatva/aikya’ are presented subtly mix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도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