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공 히스테리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목회신학적 연구 - 한국 사회 내 레드 트라우마 분석을 중심으로 (A Pastoral-theological Study on Freedom from Anti-communism Hysteri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9.11
30P 미리보기
반공 히스테리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목회신학적 연구 - 한국 사회 내 레드 트라우마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회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목회와상담 / 33권 / 47 ~ 76페이지
    · 저자명 : 고유식

    초록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서 남과 북의 정상들이 손을 맞잡고 포옹하는 장면을 보며 우리는 한반도 내 진정한 화해와 평화의 날이 그리 멀지 않았음을 느낀다. 그리고 2019년 현재에도 통일에 대한 기대와 소망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들은 통일에 대한 희망 이면에 북한 공산주의에 대한 혐오와 증오로 인해 통일에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즉 ‘통일’에 대해 양가적 감정과 모순된 태도를 보인다. 여전히 대한민국의 광장에서는 ‘통일 희망’과 ‘적화 불안’의 두 이념이 대립-충돌하고 있다.
    반공정서는 한국전쟁을 직접 겪은 세대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세대들에게도 보이는 한국인의 지배정서로,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해 반드시 풀어내야 할 과제이다. 이 과제의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자는 대한민국 국민들, 특히 한국전쟁을 직접 겪지 않은 사람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반공사상형성의 대표적인 원인인 억압적 반공교육과 이를 통해 형성된 레드 트라우마, 그리고 레드 트라우마의 증상인 반공 히스테리와 레드 콤플렉스의 발생과정을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개념을 통해 분석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통일을 앞둔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특히 화해와 평화, 용서와 희생이라는 예수의 정신을 본받아 살기 원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본 연구가 자신들이 겪고 있는 레드 트라우마와 반공 히스테리를 인식하고 이로부터의 자유를 소망하는 동기가 되기를 연구자는 희망한다.

    영어초록

    The People of South Korea saw the leaders of South and North Korea striving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at the signing of the Panmunjom Declaration on April 27, 2018,. Through the historic scenes of the 2018 inter-Korean Summit, the Korean people feel that the day of true reconciliation an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not far away. And as of 2019, expectations and hopes for unification are continuing. However, while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have hope for unification, they have negative thoughts on unification because of absolute hatred of North Korean communism. In other words, they have ambivalent feelings and conflicted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In the agora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two ideologies of 'unification hope' and 'anxiety about North Korean communism' are still in conflict. Anti-communism is the predominant emotion that applies not only to the generation that directly experienced the horrors of the Korean War but also to those who have not experienced it directly. Resolving the conflict is an essential task to be solved for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o accomplish this task, I attempted a psychological analysis of oppressive anti-communism education as the representative cause of the formation of anti-communism inherent in the Korean people, especially those who did not directly experience the Korean War. Using the concept "hysteria" by Sigmund Freud, I tried to analyze the mental processes of anti-communism hysteria and the Red Complex, which were caused by Red Trauma, which were formed through anti-communism education.
    To the Korean people expecting unification, especially for Christians who want to live on the basis of Jesus' spirit of reconciliation, peace, forgiveness, and sacrific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incentive to recognize and reduce the Red Trauma and anti-communism hysteria they are experienc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목회와상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