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광고 사전심의 위헌 판단의 함의― 헌법재판소 2005헌마506 사건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Unconstitutionality of Prior Review of Broadcasting Advertisements - focusing on Constitutional Court Case No. 2005Hun-Ma506)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3.11
26P 미리보기
방송광고 사전심의 위헌 판단의 함의― 헌법재판소 2005헌마506 사건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행정법연구 / 37호 / 53 ~ 78페이지
    · 저자명 : 홍승기

    초록

    광고는 허위ㆍ기만ㆍ과장성으로 소비자를 오도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업적 광고 표현을 헌법 제21조가 보장하는 표현의 자유 영역에 포함시킬 것인가 하는 점이 검토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상업광고가 담당하는 정보제공의 기능에 비추어 상업광고도 표현의 자유 영역이라는 점에 대하여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2008. 6. 26. 선고 2005헌마506 사건에서 방송광고의 사전심의를 규정한 방송법 제32조 제2항에 대하여 헌법이 금지하는 사전검열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위헌선언 하였다. 방송광고 심의 업무를 담당하던 (사)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이하 ‘자율심의기구’)의 심의위원의 선임에 관여하는 자율심의기구의 회장과 이사의 선임에 문화관광부장관의 승인을 요하도록 하는 것은 광고심의위원 선임에 있어 민간에게 완전한 자율을 보장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며, 심의기구 구성에 행정권이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 이유였다. 또한 자율심의기구가 방송광고 사전심의에 관한 위탁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방송위원회의 관리ㆍ감독을 받는 이상 자율심의기구의 성격을 방송위원회와 달리 취급할 수 없고, 방송위원회가 방송광고 심의 규정을 제정ㆍ개정할 권한을 가진 점에서도, 자율심의기구의 운영비 등을 방송위원회가 지급하고 있는 점에서도 행정기관성을 부인할 수 없다고 하였다.
    상업광고의 사전심의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이러한 태도는 영화에 대한 사전 허가 및 이와 유사한 행정력의 행사를 사전 검열로 판단하여 위헌 선언한 일련의 사건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헌법재판소는 1996. 10. 4. 선고 93헌가13, 91헌바10(병합) 사건에서 영화에 대한 공연윤리위원회의 사전심의를 규정한 구 영화법 제12조 제1항 및 제2항 등에 대하여 위헌결정을 내리면서 헌법 제21조 제2항이 금지하는 ‘검열’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즉, 언론 출판의 자유에 대하여는 검열을 수단으로 한 제한만은 법률로써도 허용되지 않는 것이고, 헌법 제21조 제2항의 ‘검열’이란 ① 일반적으로 허가를 받기 위한 표현물의 제출의무, ② 행정권이 주체가 된 사전심사절차, ③ 허가를 받지 아니한 의사 표현의 금지 및 ④ 심사절차를 관철할 수 있는 강제수단 등의 요건을 갖춘 경우를 의미한다고 한 것이다.
    그러나, 상업광고는 정치적 표현과는 표현의 성격이 다르다는 점, 문제가 된 상업광고는 방송광고인데 지면광고와는 표현매체의 차이에 따른 규제 방식의 차별화가 필요하다는 점, 실제로 자율심의기구 심의위원의 구성과 심의위원회의 운영에 행정력이 작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검열 도그마의 강박관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하는 의문이 있다.
    2010. 7. 29. 선고 2006헌바75 건강기능식품 사건에서 헌법재판소는 상업광고에 대한 사전심의가 사전검열로서 위헌이라는 입장을 바꾸어, 건강기능식품협회의 행정기관성을 인정하면서도 건강기능식품협회에 의한 사전심의는 헌법 제21조 제2항의 사전검열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즉, 헌법재판소는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표시ㆍ광고의 위헌성을 판단하는 기회에 그동안 엄격하게 적용하여 오던 사전검열 금지 원칙의 적용 ‘대상’을 축소한 것이다. 건강기능식품 광고의 사전심의를 합헌이라고 판단한 결정은 헌법재판소가 상업광고와 정치적 표현의 차이를 인식한 계기로 보이는데, 향후 헌법재판소가 사전검열에 대한 경직된 태도를 완화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rticle 21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guarantees freedom of expression. As commercial speech tends to be deceptive and misleading, whether it is under the Free Speech protection can be argumentative. However, general advertisements also propag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unspecified masses, it is generally agreed that they are also subject to protect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Meanwhile, Article 32 of the former Broadcasting Act gave the authority of prior review to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rticle 103 Section 2 of the former Broadcasting Act stated that the Korea Broadcast Commission must entrust a private organization with prior review of broadcast advertisements. Accordingly, the Commission has entrusted prior review to the Korea Advertising Review Board(hereinafter, the 'Review Board'). The Review Board is a private organization, composed of 3 committees including the Broadcast Advertisement Review Committee (hereinafter 'Review Committee') which has been in charge of prior review of broadcast advertisements .
    On June 26, 2008,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prior review of broadcast advertisements by the 'Review Committee' to be a form of censorship banned by the Constitution(2006Hun-Ma506). The main reasoning is that; the bylaw of the Review Board requires approval by the Minister of the Culture and Tourism for the president and the board members of the Review Board who are to appoint the Review Committee members, then the appointment of the Review Committee members is not free from governmental involvement. That clearly shows administrative power intervention in the composition of the Review Board.
    The media remarked that this ruling of unconstitutionality of prior review of broadcast advertisements which came after repetitive decisions of unconstitutionality regarding prior review of movies and records finally put a period to all prior censorship on major forms of expression.
    However, the Constitution원l Court's decision at issue raises serious concerns. Firstly, commercial speech is basically profit motivated, thus it should not be susceptible to the chilling effect of censorship as other types of speech. Should broadcast advertisements be subject to the same principle of absolute prohibition against censorship? Secondly, considering direct and massive impact of the TV broadcasting compared with print media, should there be a different scheme in regulating different medium? And lastly, if administrative power does not directly intervene with the appointment of the Review Committee members or supervise the Review Board's activities, does the prior review actually amount to prior censorship?On July 29, 2010, the Constitutional Court changed its rigid status on censorship by holding that the prior review procedure of the Korea Health Supplement Association required for advertisements of functional health foods does not infringe on the freedom of expression, though the Association is regarded as a government agency. This decision can be understood to mean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limited the subject matter of censorship. I hope this decision is the beginning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realize the attribute of commercial speech, and allow prior review against commercial speech for the protection of the consu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