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지』의 여성이 겪는 트라우마와 공간 이동 — 서희와 봉순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TSD on the Movements of Characters in Toji (Land) — In case of Seo-hee and Bong-so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7.09
24P 미리보기
『토지』의 여성이 겪는 트라우마와 공간 이동 — 서희와 봉순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문학이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이론연구 / 70호 / 409 ~ 432페이지
    · 저자명 : 전예진, 방재석

    초록

    이 논문은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서 서희와 봉순이 겪는 트라우마와 치유 과정에 따르는 공간 이동을 연구한다.
    서희와 봉순은 어린 시절 부모를 잃는 유사한 아픔을 경험한다. 이어지는 조준구의 핍박은 이들에게 트라우마로 다가온다. 서희의 트라우마 증상은 주로 공격적인 성격, 복수에 대한 강박,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결점과 친밀감을 보이지 않는 태도로 나타난다. 봉순은 트라우마로 인해 우울증 증상을 보이고 어느 한 관계나 공간에 정착하지 못하며 아편에 중독된다.
    주디스 허먼(Judith Herman)은 트라우마 치유 단계를 “안전”, “기억과 애도”, 그리고 “연결의 복구”라는 세 단계로 구분하는데 이에 따라 서희와 봉순의 트라우마 치유과정을 살펴보면 서희는 모든 단계에서 진전을 보이지만 봉순은 “안전”을 제외한 모든 단계에서 좌절을 겪는다.
    트라우마 치유 단계에 따라 서희와 봉순의 공간 이동을 살펴보면 각 단계의 수행과 좌절이 공간 이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평사리는 두인물에게 외상 사건이 일어난 공간으로 기억되어 그들은 그곳으로 쉽게 돌아가지 못한다. 그러나 두 인물에게 평사리의 의미는 각기 다른데, 서희에게 평사리는 자신의전유 공간이었지만 봉순에게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용정으로 떠나 “안전”을 확보했던 서희는 치유 과정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평사리로 회귀한다. 그녀의 “기억과 애도”는 최 참판댁의 수리로 이어지고 그녀가 양현을 평사리로 데려오는 행위는 그녀가 “연결의 복구”를 달성했음을 보여준다.
    반면 봉순은 진주와 서울에서 기생으로 자리 잡으며 불안정하게나마 “안전”을 확보하지만, 용정에서 시도했던 “기억과 애도”에서는 좌절을 겪는다. 그녀는 서울 및 군산으로 이동하면서 상현과 양현과의 “연결의 복구”를 바라지만 성공하지 못한다. 트라우마를 치유하지 못한 봉순은 서희에 의해 평사리로 돌아오게 된다. 그러나 그녀는 평사리로부터의 도피를 꿈꾸고 결국 자살을 택한다.
    서희와 봉순이 겪는 트라우마와 공간 이동의 상관관계는 트라우마가 인물의 성격이나 서사뿐만 아니라 소설의 배경과 인물의 공간 이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TSD on the movements of characters in Toji (Land), a novel by Park Kyong-ni.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ymptoms of PTSD of Seo-hee and Bong-soon, and analyzed their movements based on their recovery stages of PTSD.
    Seo-hee and Bong-soon had witnessed the tragic death of their family, and they could not face their pain because of the arrogation of Jun-gu Jo.
    For this reason, symptoms of PTSD appeared as they grew up.
    According to Judith Herman, the recovery of PTSD unfolds in three stages, which are “safety,” “Remembrance and Mourning,” and “Reconnection.” As we observed Seo-hee and Bong-soon’s recovery of PTSD based on these three stages, we found that Seo-hee accomplished the tasks within all stages while Bong-soon experienced frustration within all stages except the first stage, “safety.” Lastly, we analyzed the movements of Seo-hee and Bong-soon according to their recovery in the three stages,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three stage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movements. Among those, Pyeongsa-ri is the place where both characters experienced traumatic event and they could not return to the place easily. Seo-hee gradually went back to Pyeongsa-ri as she recovered from PTSD. Bong-soon, on the other hand, failed in the attempts at recovery, which led her to wander different places.
    In the end, Bong-soon came back to Pyeongsa-ri with the help of Seo-hee, which only cause her to long for an escape and to commit a suic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이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