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이미지 (The Image of Christ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2.12
27P 미리보기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이미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27권 / 4호 / 55 ~ 81페이지
    · 저자명 : 김철수

    초록

    이 연구는 마르틴 부버의 대화철학에 비추어 이시구로 가즈오의 『나를 보내지 마』를 다시 읽고, 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부버에 따르면 이 세상의 진정한 삶은 ‘은혜’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만남이며, 그 만남은 ‘영원한 너’이신 하나님과의 만남으로 이어진다. 부버에게 예술은 단순히 예술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의 결과물이 아니라 예술가와 대상 사이의 ‘온 존재를 기울인’ 만남이다. 이와 같은 그의 철학에 비추어 문학작품을 해석하려면 새롭고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즉, 실증주의나 형식주의 또는 사회역사적 비평과 같은 ‘나―그것’의 태도로 텍스트를 접하는 대신, 부버를 따라 ‘나―너’의 태도로 텍스트에 귀를 기울이고, 독서 과정을 통해 ‘영원한 너’의 목소리를 듣는 것이 요구된다. 성경의 진실에 반하여 인간 중심의 과학과 기술, 문학적 경향 및 철학이 우세한 것처럼 보이는 시대에 다양한 성찰을 열어주는 이시구로의 소설 『나를 보내지 마』는 ‘너’로서의 텍스트 해석의 적절한 대상으로 여겨진다. 그 이유는 인간의 희로애락을 경험하다가 신체의 장기를 기증한 후 그들의 삶을 마감하는 복제인간 친구들의 삶을 기억하고 애도하는 복제인간 화자의 내러티브와의 대화를 통해 독자는 인간의 죄를 구속하기 위해 치명적인 고난을 견디신 그리스도 예수님의 이미지를 읽어내고, 더 나아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타자들의 소리 없는 외침에 귀 기울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read Never Let Me Go by Kazuo Ishiguro in light of Martin Buber’s philosophy of dialogue, and try a new interpretation of the novel. According to Buber, the true life of this world is an encounter enabled by “grace,” and that encounter leads to a meeting with God, who is “eternal You.” For Buber, art is not merely the result of an artist’s own thinking and experience, but of the meeting between an artist and the object, “with his or her whole existence.” The interpretation of a literary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Buber’s philosophy requires a new and different approach. That is, instead of the positivist, formal, or socio-historical critiques of the work, which are based on the “I—It” attitude toward the text, Buber’s interpretation requires the “I—You” attitude to listen to the text and hear the voice of “eternal You” through the reading process. In an era when human-centered science, technology, literary trends, and philosophy seem to prevail over the truth of the Bible, Ishiguro’s novel Never Let Me Go, which opens up various reflections through the story of “a clone,” might be an appropriate target for text interpretation as “thou.” It is because the dialogue with the narratives of a clone speaker, who remembers and mourns the lives of her clone friends growing up to experience human joys and sorrows and completing their lives after their organ donation, reminds a reader of the image of Christ Jesus, who endured deadly sufferings to redeem the sin of human, and further, enables the reader to heed the silent outcry of the implied other in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앙과 학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