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시마와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시각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Korean and Japanese Perspectives on the UNESCO Inscription of Japan’s Hashima Island and Sado Min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3.04
22P 미리보기
하시마와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시각차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일본학) / 59권 / 189 ~ 210페이지
    · 저자명 : 노지현, 마승혜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신문기사 479건(1990~2022;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경향신문)을 분석하여 2020년 세워진 도쿄 메이지산업유산정보센터 내 일본의 증언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미디어는 하시마(端島)와 사도광산(佐渡金山)을 가해자와 피해자의 구도로 해석하고 있었으며 이 같은 구도는 신문사의 논조(진보 보수)와는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시마에 대한 관심은 2015년 이전은 거의 없었으나 일본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추진하면서 갈등보도가 증가하였다.
    일본의 신문기사는 1990년대까지는 과거 하시마 섬에서 일했던 한국인들의 증언을 소개하며 ‘강제연행, 강제노동’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2010년 이후부터는 하시마를 근현대 역사관광의 자원으로 인식한다. 한편, 미디어가 하시마를 두고 표현한 다양한 해석은 2019년 메이지산업유산정보센터가 개관하면서 단일화된다. 일본정부는 유네스코 하시마의 옛 주민들의 증언을 토대로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영문 브로셔와 판넬을 제작하였다. 여기서 하시마를 묘사하는 단어로 ‘합법성’과 ‘자발적 이주’를 강조하는 언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조선인을 일본과 대립하는 존재가 아닌, 산업화를 함께 이루고 전쟁의 고통을 나눈 동료로 묘사했다. 이 연구는 양국 간 역사적 기억이 다른 문화유산의 경우, 현재의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 등록제도로는 갈등이 증폭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perspectives of the Korean media and Japan regarding Japan’s Hashima Island (also known as Battleship Island), which was register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2015, and the Sado Mine, which is currently seeking to be designat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in 2023.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479 reports on Hashima Island and 181 reports on the Sado Mine by four major Korean newspapers from 1990 to 2022 using the text mining tool ‘KH Coder.’ The analysis was then compared with the official English brochure of the Meiji Industrial Heritage Information Center in Japan, which was opened in 2020, as well as the English expression of the exhibits. When reporting on Hashima Island, the Korean media frequently used terms like perpetrators, victims, forced labor, and truth distortion, which are also linked to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Korean articles emphasized the illegality of labor, using words such as forced labor and forced mobilization. This trend was consistent regardless of whether the newspaper’s tone was progressive or conservative. On the other hand, Japan explains to foreigners through its brochures and its official website using words such as official placement, requisition, repatriation, and migration. In English explanations, Japan describes Koreans as colleagues who achieve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together and selects words that imply that the working environment at the time was based on independence and autonomy. This difference in perspectives is likely to be reproduced in registering the Sado Mine as of 2023 with UNESCO. Therefore, the registration process and system of UNESCO should be reinforced fur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