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호마의 조련과 기마전- 내구마의 조련을 중심으로 - (Training of Manchurian Horses and Cavalry Batt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Focused Training of Naegu Horses(內廐馬)-)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18.11
30P 미리보기
조선전기 호마의 조련과 기마전- 내구마의 조련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7호 / 225 ~ 254페이지
    · 저자명 : 이홍두

    초록

    조선시대 호마는 고려전기 여진의 달단마와 고려 말 원나라 몽고마가 그 연원이다. 그동안 조선시대 호마는 궁중의 내구마에 한정하였으나, 필자는 내구마로 간택되지 못해 각 고을에 보낸 분양마, 영진의 군사에게 지급한 전마, 동절기의 여러 목장에서 각 고을에 보낸 목장마를 호마로 규정하였다. 내구마 조련은 태종대 중반까지는 내승이, 태종대 후반은 겸사복이 주도하였다. 겸사복은 마상무예를 겸비한 사복이 상호군‧호군‧첨총제‧행사직 등과 같은 관직을 겸직하면서 시작되었다. 특히 세조대 겸사복은 지위가 급속히 상승했는데, 호마목장의 설치, 호마의 조련, 창덕궁 후원마 사육 등을 그 통로로 이용하였다. 성종대에는 내사복시의 위상이 강화됨으로써 내승이 겸사복을 감찰하는 지위를 회복하였다. 각 고을의 분양마 제도는 궁중의 내구마와 동절기의 목장마가 그 시초이다. 당시 각 고을에서는 수용할 수 있는 분양마를 남기고 여분의 분양마를 북방과 영진의 무재가 있으나 말이 없는 군사에게 지급하였다. 한편 내구마와 분양마로 지칭되는 준마는 어가의 행차나 실전과 같은 기마전을 통해 조련의 강도를 심화시켰다. 국왕이 타는 어가는 大駕와 法駕 및 少駕가 있는데, 각 어가는 좌우에 세우는 어마의 숫자에 차이가 있으며, 국왕의 행차에는 수많은 방패와 깃발 및 고각이 동원되었다. 따라서 평소 어마를 길들일 때 깃발과 고각소리에 눈과 귀가 익숙하도록 조련하였다. 내구마와 군사들의 전마는 훈련 형식의 마상무예를 통해 조련의 성과를 이루었다. 임란왜란 이후 동아삼국은 전쟁에서 대포와 총을 사용하였다. 특히 조선의 군사가 포를 쏘면 화염 때문에 앞을 분간할 수가 없었고, 폭발음이 커서 여진의 기병이 혼비백산하였다. 따라서 양란 이후 군사들의 전마 조련은 말이 대포와 총소리에 익숙하도록 훈련하였다.

    영어초록

    The origin of Homa horses in Joseon era is from Yeojin's Daldanma horses at early Goryeo era and Mongo horses of Yuan Dynasty at late Goryeo era. In the meantime, Homa horses in Joseon era were limited to Naeguma horses in court, but this study defined Bunyangma horses not selected as Naeguma horses but sent to each village, war horses sent to Yeongjin military, and ranch horses sent to each village from various ranches in the winter season were as Homa horses. Naeseumi horses were trained by Naeseungi until the middle of king Taejong, and were trained by Gyeomsabok in late King Taejong era. Gyeomsabok started as Sabok, who had horse martial arts, took an office such as Sanghogun‐Hogun‐Cheomchongje‐Haengsajik. In King Sejong era, in particular, the status of Gyeomsabok rapidly increased, and it used installation of Homa horse ranches, training of Homa horses, breeding of Changdeokgung Huwonma horses as a pathway. In King Seongjong era, Naesaboksi's status was reinforced and the status to supervise Naeseungi Gyeomsabok was restored. The beginning of Bunyangma horse system of each village is Naeguma horses of court and ranch horses of winter season. At the time, Bunyangma horses were left in each village that could afford to receive, and extra Bunyangma horses were sent to the soldiers in the Yanggye region and Yeongjin with Mujae but without the horses. The strength of training of Homa horses, also called Naeguma horses and Bunyangma horses, was intensified through the use of king's royal coach coming or horse battles such as real combats. The royal coach of the king consisted of Daega(大駕), Beopga(法駕) and Soga(少駕), and each royal coach had a different number of royal horses on its left and right, and there were numerous shields, flags, and horns mobilized. So, usually when royal horses were tamed, their eyes and ears were trained to familiarize with the flags and horn sounds. The Naeguma horses and the war horses of the soldiers were trained through a training type of horse combat. After Imranwaeran, east Asian three countries used cannons and guns in the war. Especially when Joseon's military shot cannons, they could not distinguish the front due to the flames, and the explosion sounded so hard that Yeojin's cavalry got frightened out of their senses. Therefore, after Yangran, the military trained war horses to get accustomed to being familiar with cannons and gunsho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