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유영(徐有英)의 기행시 고찰 - 임한정(臨漢亭)·금강산(金剛山)·송도(松都) 연작시 중심으로 (A Study on Sŏ Yu-yŏng’s (徐有英) Journey Poems - Focusing on the Poems of Imhanjŏng (臨漢亭), Mount Kŭmgang (金剛山), and Songdo (松都))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6 최종저작일 2025.02
37P 미리보기
서유영(徐有英)의 기행시 고찰 - 임한정(臨漢亭)·금강산(金剛山)·송도(松都) 연작시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古典硏究 / 68호 / 243 ~ 279페이지
    · 저자명 : 진민희

    초록

    19세기 한국 문학사에서 서유영(徐有英, 1801∼1876?) 문학의 위상은 더 이상 이의가 없을 정도로 폭 넓고 뛰어나며, 그의 생애와 교유 양상 역시 유의미하다. 그러나 여전히 서유영의 시세계를 본격적으로 다룬 후속 연구의 성과는 미진하다.
    본고는 『운고시초(雲皐詩抄)』내의 기행시를 통해 서유영 시세계의 일면을 살펴보려 한다. 서유영 기행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적으로 분류하자면 다수가 해동악부․죽지사․잡영으로 악부시에 속한다. 둘째, 기행문학의 관점에서 관유기행문과 유배기행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셋째, 동행인들이 대부분 시사(詩社)의 동인들로, 시회의 현장에서 창작되었다.
    이에 본고는 서유영의 시사 활동이 두드러진 임한정(臨漢亭) 기행시, 관유기행의 특징이 잘 드러난 금강산 기행시, 유배기행으로 분류되는 송도(松都) 기행시를 선별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임한정과 송도 기행은 악부시에 속하며, 특별히 송도 기행시는 서유영 시문학의 정수를 보여줬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임한정 기행시는 서유영의 남사(南社) 활동과 지아자(知我者)에 대한 욕망이 특정 장소에 발현된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총 세 차례의 여정을 통해 창작한 금강산 기행시는 신라 기원 도교와 불교적 색채가 짙은 그의 문학관이 확인 된다. 송도 기행시는 유배 도중이라는 특정 시기와 고려에 대한 역사적 관점이 함께 반영되어, 명승 경관보다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지역성을 부각시켰다는 특징이 있다. 유득공(柳得恭)의 『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를 계승하였다는 점도 주요하다.
    서유영의 기행시는 본고를 통해 처음으로 조명되는 바이다. 본고는 그간 학계에서 제대로 주목 받지 못했던 서유영의 시세계를 보다 다층적으로 살피며 남사를 비롯한 19세기 경화세족 시사 활동의 구체적 정경을 복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서유영의 깊은 사유와 애정이 담긴 장소들에 대한 연구에도 본고의 작업이 일면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literary contributions of Sŏ Yu-yŏng (徐有英, 1801–1876?) hold an undisputedly promine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19th-century Korean literature, demonstrating remarkable breadth and sophistication. Furthermore, his life and social interaction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intellectual networks of his time. However, compared to studies on his novel Yukmidanggi (六美堂記) and his vernacular Kŭmkye P’ilt’am (錦溪筆談), research focusing on his poetic works remains notably underdeveloped.
    This paper investigates one aspect of Sŏ’s poetic work by analyzing his journey poems, particularly those found in Unko Sicho (雲皐詩抄). These poems exhibit three key characteristics. First, many belong to the Akpu (樂府) poetic tradition, including subcategories such as Haedong Akpu (海東樂府), Chukji sa (竹枝詞), and Chap’yŏng (雜詠).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travel literature,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observational travel accounts (kwanyu kihaeng, 觀遊紀行) and exile journeys (yup’ae kihaeng, 流配紀行). Third, these poems were often composed during poetry gatherings and involve fellow members of literary societies.
    The analysis examines a series of journey poems depicting Sŏ’s experiences visiting Imhanjŏng (臨漢亭), Mount Kŭmgang (金剛山), and Songdo (松都), representing his engagement with literary societies, observational travel, and exile journey. The Imhanjŏng poems reflect Sŏ’s participation in the Nam-Sa (南社) and his desire for “one who truly understands him” (chiaja, 知我者), both conveyed through specific locales. The poems from Mount Kŭmgang, composed during three journeys, reveal a literary worldview deeply influenced by Taoist influences from Silla (新羅) and Buddhist ideologies. Meanwhile, the poems from Songdo, written during his exile, emphasize regional identity and historical narratives over the scenic beauty of the landmarks, drawing a connection to Yu Tŭk-kong’s (柳得恭) Isib’il-to Hoegosi (二十一都懷古詩).
    This study fills a critical gap in scholarship by bringing attention to Sŏ Yu-yŏng’s poetic works, which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Furthermore, it contributes to reconstructing the literary and cultural activities of 19th-century Kyŏnghwa sejok (京華世族), particularly their participation in poetic societies such as the Nam-Sa. For the first time, Sŏ’s travel poetry is examined in detail, offering fresh insights into the places imbued with his profound thought and emotional depth. This paper also seeks to support further research on Sŏ’s attachment to and reflections on specific locations, enriching the broader understanding of 19th-century Korean literary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