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과 정의의 긴장관계를 통한 기독교 윤리의 자리- 폴 리쾨르의 해석학적 윤리를 통한 사랑과 정의 이해 - (The Place of Christian Ethics through the Tension between Love and Justice: The Understanding of Love and Justice through Paul Ricoeur’s Hermeneutic Ethic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12
35P 미리보기
사랑과 정의의 긴장관계를 통한 기독교 윤리의 자리- 폴 리쾨르의 해석학적 윤리를 통한 사랑과 정의 이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사회윤리 / 33호 / 141 ~ 175페이지
    · 저자명 : 변경원

    초록

    본 논문은 폴 리쾨르의 해석학을 통해 사랑과 정의의 연합 가능성을 타진한 후 그 연합의 자리에서 기독교 윤리주체의 생성이 가능함을 보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아가페로 대표되는 기독교의 사랑 개념은 많은 경우 공정성으로 대표되는 정의 개념과는 대립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리쾨르는 이렇게 대립되는 개념을 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리쾨르는 이를 위해서는 아웃카가 제시한 기독교의 사랑에 관한 ‘기본적 규범내용’을 분리하는 작업에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비판적 관점에서 사랑의 이념은 담론의 해석을 통해 이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리쾨르는 성서에 들어있는 사랑담론의 특성을 시적 상상력의 영역에 속하는 ‘칭송, 명령, 은유의 힘’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리쾨르는 사랑과대립되는 정의의 담론을 존 롤즈의 정의론으로 보려한다. 리쾨르에게 정의는 반공리주의를 지향하는 것이다. 사랑담론과 정의의 원칙의 해석을 통해 리쾨르는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적 결합을 시도한다. 그가 이러한 결합을 위해 채택하는 것은 ‘마태의 산상설교’와 ‘누가의 평지설교’이다. 이 두 텍스트에는 ‘원수를 사랑하라’는 새 계명과 황금률의 병렬이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총의 경제는 ‘넘침의 논리’로 황금률은 ‘등가의 논리’로 구획될 수 있다. 그는 등가의 논리가 사랑의 계명으로 인해 재해석되는 것을 통해 사랑과 정의는 연합이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이렇게 새롭게 해석된 텍스트 앞에서 새로운 자기이해가 가능해진다고 주장한다. 리쾨르는 이 지점에서 기독교 윤리주체의 자리가 확보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firs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e union between love and justice, and later to show the possibility of the creation of the Christian ethic subject through the Ricoeur’s Hermeneutic. Christian Love, Agape, has been mostly understood as the opposite of distributive justice, which represents the economic equality. Ricoeur insisted that love should combined with justice. Ricoeur argued that we must resist to establish the ‘feature of moral judgement’ suggested by Gene Outka. He thought that we could obtain the concept of love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discourse. According to Ricoeur, the discourse of love has three characteristics: praise, the imperative command, and metaphor. Ricoeur accepted the justice theory by John Rawls as a discourse of justice. Ricoeur regarded anti-utilitarianism as the justice theory. Ricoeur attempted to unify love and justice dialectically. He pursued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logic of equivalence, illustrated by the golden rule, and the logic of superabundance, incarnated in the new commandment. He thought that the commandment of love does not abolish the golden rule, but instead reinterprets it in terms of generosity. Ricoeur insisted that people could appreciate the new self before the newly interpreted text. This new interpreted text can be regarded as a turning point in creating the new Christian ethic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사회윤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