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주 오송 만수리와 봉산리 구석기 유적군의 후퇴적과정에 대한 시론적 일고찰 (A Review on the Post-depositional Processes at the Mansu-ri and Bongsan-ri Paleolithic sites in Osong-eup, Cheongju)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6
29P 미리보기
청주 오송 만수리와 봉산리 구석기 유적군의 후퇴적과정에 대한 시론적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 / 1권 / 41호 / 55 ~ 83페이지
    · 저자명 : 윤병일

    초록

    이번 연구는 청주 오송 만수리와 봉산리 유적군 일대의 형성시기 및 유적의 연대에 대하여 검토해보고 새로운 해석 방법을 시도 하고자 하였다. 유적군의 퇴적층은 절대연대측정 결과로 미루어 보아 최소 10만년 전∼1.5만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는데, 각 유물층간 석기의 제작기술적인 차이가 거의 없다. 고인류가 다기간동안 점유하여 폐기된 석기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구석기 문화층이 형성된 것 보다는 최소 약 10만년 전, MIS 5기 이상의 이른 시기에 유사한 석기 문화를 가진 인류의 점유가 이루어 졌고, 그 시기동안 집중적으로 석기 사용이 이루어졌음이 추정된다. 그리고 그 석기들이 폐기된 후 여러 층에서 재퇴적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석기들의 이동이 이루어 졌음이 확인된다.
    그 근거로는 구석기유적의 변형과정 및 유적형성모델에 따라 석기유물의 집중도와 밀집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소형석기 비율 역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석기 제작과 관련하여 석기제작소라 할 만한 석기집중부가 거의 확인되지 않았을 뿐더러 부합유물 또한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부합 유물은 지역 일대 전체 유물의 약 0.006% 정도로 매우 소량 확인되었는데, 부합유물 중 일부는 약 2만년의 시간차를 둔 것으로 추정되는 서로 다른 퇴적층에서 69m 거리에 떨어져 확인된 바도 있기 때문에 유적의 형성과정에서 석기의 이동이 발생했다는 근거를 더하여 준다. 석기의 이동의 근거는 석기 표면에 발생한 마모도에서도 확인되었다. 오송 봉산리 유적에서 실시한 마모도 분석 결과 상부 퇴적층 유물의 마모도가 하부 퇴적층 유물의 마모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구석기 유적은 대부분 수 만년 동안의 자연변화를 겪은 퇴적층과 잔류성 유물의 집합적인 문화유산이다. 앞으로 후퇴적과정을 통해 형성된 유적의 해석이 대한 다양한 고고학적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Miho stream is the largest of the tributaries joining the main stream of the Geum River where a large number of Paleolithic sites are located. The Cheongju Basin and the Miho Plain are developed in the middle of Miho Stream near the Mansu-ri and Bongsan-ri Paleolithic sites where have long been a fertile ground. Many of the Paleolithic artifacts which are occupied with typical large core tools in Middle Paleolithic are found around in this area. In particular, the Mansu-ri and Bongsan-ri sites were developed during the Middle Paleolithic more than 100,000 years ago. The majority of sedimentary layers have been post-depositional processes due to the influence of rivers predominantly on slopes and erosion.
    This study is presented the results of attempted to analyze the Post-depositional process of the Mansu-ri and Bongsan-ri sites. It is new attempt at an interpretation about the formation period from the post-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Mansu-ri and Bongsan-ri sites in Osong-eup, Cheongju. Regarding the OSL dating results are not agree with the stratigraphic consistenc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show a reversal age. It is not unusual phenomenon because a large number of sediments had received a long light exposure but some sediments were without being exposed to ligh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ites formed by the sediments re-deposited process.
    The sedimentary layer is have been formed between from about 15,000 to 100,000 years ago through dating methods.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of artifacts between each sedimentary(cultural) layer are not large, It is estimated that rather intensively performed during the period than sequentially inhabitants with subsequently deposited. After discarding artifacts, it was re-deposited on several layers, and other artifacts were moved in this process with them.
    According to the dating analysis of transformation process and the formation model, the concentrated distribution and density of artifacts were relatively low, and the proportion of small artifacts were also very low. These results are confirmed similarly to the cultural layers in floodplain deposits and slope deposits sediment. Accordingly, this sit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high energy sedimentation or continuous progress. It consistent with the study conclusion that these sites have a possibility to be a place where no traces of the inhabitants behavior.
    Besides the refitted lithic artifacts have been identified small quantities about 0.006% and very rare lithic concentrations workshop in the sites. Even some of artifacts have been identified in different sedimentary layers which is estimated to have a formed timely difference of about 20,000 years at a distance of 69 meters that adding evidence that artifacts movement occurre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sites.
    The basis for the movement of artifacts were also confirmed by abrasion damage on the surface of artifacts. As a result of abrasion analysis conducted at the Bongsan-ri Paleolithic site, the abrasion damage of artifacts from upper sedimentary layer were more worn than artifacts from lower sedimentary layer. These phenomena are are due to the post-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sites.
    The site formation is organized by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rtifacts are remained from discarding to finding in current. It is expected that more practical approach with specific research methodology is intended to further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구석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