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을신앙의 복원과 변화 양상-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백야마을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transfiguration after the restoration of village rituals-Centered on Bakya village in Bakya Ri, HwaJeong Myun, Yeosu-)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8.12
30P 미리보기
마을신앙의 복원과 변화 양상-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백야마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17호 / 299 ~ 328페이지
    · 저자명 : 임세경

    초록

    본 논문에서는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백야마을의 당산제가 중단과 복원의 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의미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백야마을 당산제는 조선시대 백야도에 목장이 있어, 말이 건강하게 잘 자라기를 기원하는 제를 지낸데서 유래되었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 더 이상 말을 키우지 않게 되자, 제의 의미가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것으로 변하게 된다. 이렇게 전승되어 오던 당산제가 1980년대 4-5년간 중단되기에 이른다. 제를 지내던 제당이 쇠락하고 신체로 모시던 동마가 분실되었는데도 마을에 별다른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생각에 자연스레 당산제가 중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당산제가 중단된 이후 다시 복원되기까지 4~5년 동안 마을사람들은 복원에 대한 계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인식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마을에 좋지 않는 일이 생기는 것이 당산제를 지내지 않은 까닭이라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당산제를 복원시키자는 논의에서는 앞으로 좋지 않은 일이 일어날 것을 대비하여 당산제를 모시자는 의견이 제기된다. 그리고 마을의 유지가 당산제를 다시 모실 것을 권고하면서 사비를 털어 새로 당집을 신축할 의사를 밝히기도 한다. 이에 결국 다시 당산제를 모시게 된 것이다.
    하지만 당산제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중단되기 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먼저 원래의 제장에 있었던 당집이 쇠락해 버린 탓에 새로이 당집을 신축하여 그곳을 제장으로 삼았다. 신격이나 신체를 모시는 것에 있어서도 변화가 나타나는데, 말과 관련된 백호산의 산신을 모시고, 동마를 신체로 모시던 것 대신에 마을의 수호신이라고 할 수 있는 당산을 모시게 된다. 그리고 헌석은 잡귀잡신 위령문을 읽는 것으로 대체된다. 당산굿과 샘굿을 더 이상 치지 않게 되었으며, 제일 역시 정월 정일에서 이민의 날 행사를 치르던 삼월 삼짇날로 변경하여 두 행사를 함께 치르게 되었다.
    이와 같이 중단되었던 당산제가 복원되는 과정에서 구조적, 기능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구조적인 측면의 변화는 제의 절차와 뒷풀이를 중심으로 나타남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변화된 모습의 이면에는 기능적 습합과 의미 상실에 의한 소멸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 제의 절차에 따른 각각의 의미들이 필요에 따라 재배치되거나, 복원되는 상황에 맞는 의미만을 담게 된 것이다.
    그리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중단되기 전의 당산제가 종교적 기능이 강화되어 나타나는 모습이었다면, 복원되는 과정에서는 사회적 기능이 보다 강화되어 나타나게 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민의 날을 변경시키는 과정에서 제일이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백야마을 당산제에 아직 종교적 기능이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rer examines the transfiguration process of Dangsan Jae in Bakya village from its discontinuance to the restoration. Dangsan Jae in Bakya village was derived from the village rituals praying the health of horses on the village farm. However, after the war by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they stopped raising horses, so the meaning of the village rituals changed to hoping farming abundance and the peace of the village.
    And during the 1980s, Dangsan Jae was interrupted for 4-5 years. Even though Ritual place was ruined and the deity horse was lost, there wasn't anything bad happened in the village. So it was natural that the village rituals stopped. During the absence of the rituals, for about 4-5 years, the village residence have various opinions about the restoration of Dangsan Jae. Some people thought that the bad things happening in the village was the result of not performing Dangsan Jae. However, under the discussion of the restoration, it was suggested that Dangsan Jae was necessary to prevent the unlucky occasions from happening in the village. And the influential person in the village urged to restart performing Dangsan Jae and proposed to build a new ritual house with his own money. So they restored Dangsan Jae again.
    However, in the process of the restoration, the new aspect appeared. First, a new ritual house was built instead of the old ruined house. Another aspect was shown about the diety. Instead of worshiping the god of Bakho mountain related to the horse and the iron horse statue as the deity of the god, the residence started to worship Dangsan, the protecting deity of the village. And Hunsuk, welcoming with food and praying rite to all kinds of spirits, was substituted to the reciting the piece of writing for the spirits. Dangsan exorcism and the fountain exorcism were not played any more, and the ritual day was changed from the sixth day of January to the third day of March, the day of the village residence, and the two ceremonies were held on the same day.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restoration process of Dangsan Jae, we can see the change of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Dangsan Jae. The change of structural aspect can be seen at the procedure of rituals and the post-party. underneath those change, we can examine the compromise of functions and the extinction of lost meaning. The meanings of each procedure were replaced by its necessities and reduced to the new conditions.
    The change of functional aspect is also shown. Before the discontinuance, religious function was the main function, but as the restoration process went by, the social function became more important. However, even after the day of the residence was changed to the 14th day of April, the rituals were still held on the third day of March, which means the religious function is still remained in Dangsan Jae of Bakya vil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