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단(四端)에 대한 주리(主理)적 해석 - 퇴계와 농암의 논의를 중심으로 - (Li-based Interpretation of Sadan(四端)- Focusing on Toegye and Nong-am’s Debat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8.12
30P 미리보기
사단(四端)에 대한 주리(主理)적 해석 - 퇴계와 농암의 논의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7권 / 205 ~ 234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맹자가 구상한 ‘사단(四端)’이란 개념의 전반은 『맹자』의 ‘유자입정(孺子入井)’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맹자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지려 할 때, 이를 목격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저절로 지니게 된다는 심리적 사실에 의거하여 인간의 내면에 ‘인(仁)’의 덕성이 본유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로부터 사단이 절대순선한 ‘상(象, image)’과 모든 사람이 자연스레 드러내는 ‘발현 양상’의 측면으로 구성된 개념임을 알 수 있다. 본고는 맹자가 설명한 사단의 두 측면을 완전하게 밝히고자 했던 대표적인 조선 성리학자로서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과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 1651-1708)에 주목하고자 한다. 퇴계와 농암은 모두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는 리(理)·기(氣)의 존재론적 설명방식으로 맹자가 말한 사단의 본지를 밝히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졌기에 순선한 가치론적 속성을 갖는 ‘리(理)’를 위주로 하여 사단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논의의 층위가 달랐던 탓에 사단에 대한 두 학자의 주리(主理)적 해석이 함의하는 바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철저히 가치론적 견지에 입각했던 퇴계는 사단의 의미[所指]뿐 아니라 근원[所從來]까지 칠정과 엄분하여 호발(互發) 명제를 정립했고, 이를 통해 사단의 본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퇴계의 호발설이 과도한 논리의 전개라고 비판한 농암은 학파의 종장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의 토대 위에서 사단을 주리적 감정으로 설명함으로써 사단의 진의를 드러내고자 했다.

    영어초록

    Mengzi established “sadan”(四端; the Four Beginnings) as the most fundamental human virtues. Its underlying concept is illustrated by Mengzi’s parable of “a child about to fall into a well”. Based on the intrinsic feeling of compassion that anyone would have on seeing “a child about to fall into a well,” Mengzi demonstrates that human beings have an innate virtue of ren(仁; benevolence). This parable embraces two aspects of sadan : the image(象) of absolute goodness intrinsic to the human mind and its spontaneous manifestatio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sadan, focusing on the arguments of two illustrious Korean neo-Confucian scholars who sought to thoroughly explore these two aspects of sadan as explained by Mengzi: Toegye(退溪) Yi Hwang(李滉, 1501-1570), and Nong-am(農巖) Kim Chang Hyeop(金昌協, 1651-1708). Both scholars saw limitations in explaining the essence of sadan with an ontological approach and adopted axiological approaches, focusing on its interpretation based on li(理). The main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sadan between these two scholars lies in the layers of argument leading to their respective li-based implications. Toegye sought to elucidate the essence of sadan from a thoroughly axiological perspective and established the proposition of “the mutual issuance”(互發) by neatly distinguishing not only the meaning(所指), but also the origin(所從來) of sadan from chiljeong(七情; the Seven Emotions). Nong-am criticized Toegye’s proposition of mutual issuance, and holds fast to the proposition stipulating that “only gi issues and li rides on it”(氣發理乘一途說) established Yulgok(栗谷) Yi I(李珥, 1536-1584), the founder of Yulgok School, as the basic position, and sought to unlock the essence of sadan as intended by Mengzi by explaining sadan conceptually based on l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