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적 경관의 디지털 재현과 활용방향 - 순천 대곡리 유적을 중심으로 - (Digital Reconstruc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for Archaeological Landscapes: A Case Study of the Daegok-ri Site in Sunche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5.02
29P 미리보기
유적 경관의 디지털 재현과 활용방향 - 순천 대곡리 유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서고고학 / 60호 / 46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인경, 안형기

    초록

    본 연구는 순천 대곡리 유적을 통해 유적 경관의 디지털 재현방법과 과정을 제시하고, 활용 방향을 탐구하였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유적의 복원 및 재현 연구는 국내외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해외 사례로는 로마 리본 프로젝트가 대표적이며, 국내 사례로는 한양도성 타임머신과 경주 서라벌 천년 시간여행 등이 있다. 이런 대규모 프로젝트는 주로 IT업체나 한정된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왔다. 디지털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들에게는 고고학의 디지털적 접근이 여전히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고학 연구자들이 유적 경관을 디지털로 쉽게 재현할 수 있도록 단계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현재 수몰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순천 대곡리 유적이다. 고고 자료와 고환경·고지형 분석 자료를 반영하여 시각화 작업을 하였다. GIS, 3D 그래픽 기술, 실시간 렌더링 엔진, 3D 모델링 애셋(Asset) 등을 이용하여 재현된 유적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 학술적인 관점에서는 유적을 둘러싼 환경과 청동기시대 움집 및 지석묘의 입지 간 관계를 시각적으로 제시하여 연구적 이해를 돕는다. 실용적인 관점에서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을 적용하여 교육 및 전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가상 관광 자원이나 확장현실(XR) 몰입형 콘텐츠로 제작되어 문화유산의 보존에 기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3D 모델링 플랫폼과 아카이빙을 구축하고,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포털 3D문화유산에서 제공되는 3D 모델링 애셋(Asset) 데이터처럼 고고 자료를 아카이빙하고, 대중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이 마련된다면 유적의 디지털 복원 및 재현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영어초록

    This study explores methods and processes for digitally reconstructing archaeological landscapes, focusing on the Daegok-ri site in Suncheon, and examines potential applications of such reconstructions. Study on the restoration and digital representation of heritage sites using digital technology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Notable international examples include the Rome Reborn Project, while domestic projects such as the Hanyangdoseong Time Machine and the Gyeongju Seorabeol Millennium Time Travel exemplify this trend. These large-scale projects have primarily been conducted by IT companies or a limited number of researchers, making digital approaches in archaeology challenging for those less familiar with digital technologies. To facilitate easier digital reconstruction of archaeological landscapes by researchers, a step-by-step study was conduct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Daegok-ri site in Suncheon, which is currently submerged, rendering visual observation of the landscape difficult. Visualization was performed by incorporating archaeological data, paleo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paleotopographic analysis. The site was reconstructed using GIS, 3D graphics technology, real-time rendering engines, and 3D modeling assets, enhancing its value for various applications.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Bronze Age pit houses and dolmens aids in research comprehension. Practically, the reconstruction can be utilized as educational and exhibition material through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It can also contribute to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by being developed into virtual tourism resources or immersive extended reality (XR) content.
    To achieve this, establishing 3D modeling platforms and systematic archiving systems for data sharing is essential. For instance, if platforms similar to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National Heritage Portal's 3D Cultural Heritage section or the Korea Cultural Information Service's Metaverse Data Lab, which provide 3D modeling asset data, are developed for archiving and public sharing, study on the digital restoration and representation of archaeological sites will become more a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서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