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나리>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와 공간적 성격 (A Study on Heterotopia and a Cinematic Space in (2021))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0
24P 미리보기
&lt;미나리&gt;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와 공간적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9권 / 3호 / 139 ~ 162페이지
    · 저자명 : 이지은, 이주봉

    초록

    <미나리>는 1980년대 미국에 이주하여 정착하려는 한국인 제이콥 가족의 정착기를 다룬 영화이다. 새로운 정착지에서 뿌리내리려는 이주민의 모습을 담은 영화가 대체로 그러하듯이, 영화 <미나리> 또한 디아스포라로서 정체성을 가진 주인공의 모습이 중심에 자리한다. 이주민의 정착 역사를 다루는 영화의 경우, 주인공이 원래 체득한 문화적 정체성과 이주하고자 하는 정착지가 이들에게 주는 이질성이 어우러지면서 필연적으로 공간에 대해서 디아스포라의 시선을 환기한다는 사실은 영화적 공간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미나리> 역시, 미국 사회의 관점이 투영된 균질적 공간 이면에 이주민으로서 주인공 가족의 관점이 틈입하면서 새로운 성격을 갖는 공간들이 형상화된다. 정착하고자 하는 미국 사회에 균열을 일으키는 제이콥 가족의 공간들은 이들의 사적 공간이면서, 이들의 디아스포라로서의 정체성을 부각하고 또 동시에 새로운 정착지에서 이들의 삶을 추동하는 공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고에서는 제이콥 가족 구성원들이 스스로와 서로를 다시 발견하도록 해주는 기제로서 영화적 공간을 헤테로토피아로 이해한다. 미나리 밭의 예시가 웅변하듯이, 일상 현실의 공간적 성격에 반하는 불균질적인 공간으로서 헤테로토피아는 미국의 일상 현실 공간과 대구(對句)를 이루면서 이산인(離散人)에게 불안정하고 유동적 삶을 강요하는듯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그 공간의 특수성이 디아스포라 가족들이 서로를 다시 발견하도록 해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본고는 이러한 영화적 특성을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에 기대어 확인하고 있다.

    영어초록

    <Minari> is a film by Lee Isaac Chung about the Jacob Yi family’s settlement period in rural Arkansas in the 1980s. As is the case with the film about migrants trying to take root in new settlements, <Minari> is also centered on the main character with identity as a diaspora. In the case of films dealing with the settlement history of migrants,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 inevitably evokes Diaspora’s view of space by combining the cultural identity he originally learned and the heterogeneity of the settlement he wants to move to. The cinematic spaces in <Minari>, which are homogeneous spaces in which the perspective of American society is projected, places also with new spatial characteristics are created as the perspective of the main character’s family as a migrant. The Jacob family’s spaces, which cause cracks in homogeneous spaces in new settlements in the United States, can be understood as private spaces for the Jacob family, highlighting their identity as diaspora, and at the same time driving their lives in new settlements. For this reason, this paper understands the nature of the cinematic space as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as a mechanism that allows Jacob family members as diaspora to rediscover themselves and each other. As an example of minari field by the brook, heterotopia as a decentralized space against a space of everyday-life in the new settlements in United States seems to force unstable and fluid lives on the discrete, but ultimately the specificity of the space allows the diaspora families to rediscover each other. This paper confirms these cinematic characteristics with Michel Foucault’s concept of heterotop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