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松菊里型 住居址의 構造變化에 대한 試論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Songgungni-type Dwelling)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2.12
28P 미리보기
松菊里型 住居址의 構造變化에 대한 試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16권 / 25 ~ 52페이지
    · 저자명 : 이종철

    초록

    주지하다시피 송국리형 주거지의 중앙에서는 타원형구덩이와 중심주공(내·외주공), 4주 등이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내부시설이 2개 이상 중복 혹은 조합되면서 복잡한 구조를 이루는 예가 다소 발견되고 있어, 기본적인 주거유형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이러한 구조적 변화를 보이는 주거를 변화유형으로 간주하고 각 유형의 구조적인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송국리형 주거의 변화유형에는 개축형, 증축·확장형, 보강형, 생략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개축형과 생략형은 면적의 변화없이 한 주거지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화유형이다. 개축형은 타원형구덩이가 재사용되거나 다시 만들어지면서 상부구조를 변화시키는 주거유형이며, 생략형은 전통적으로 설치되던 타원형구덩이가 소멸되는 주거유형이다. 이런 점에서 생략형 주거의 시간적 위치는 상대적으로 늦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거의 개축과 내부시설의 생략은 주로 중·소형 주거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증축·확장형은 주거의 면적확장과 관련된 유형으로 2개 이상의 기본유형이 조합된 건물이다. 따라서 외견상 규모가 매우 크며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닌다.
    보강형은 건축구조상의 커다란 변화라기보다는 종도리나 주심도리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보강주를 설치하는 주거형태이다. 따라서 주거의 보강이라는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다만 4주가 설치된 주거에서 나타나는 보강형 주거는 증축·확장형 주거의 면적과 대동소이하고 다른 유형의 4주식 주거 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주거의 면적확장과 연관된 것으로 생각된다.
    장방형 혹은 세장방형 주거지의 확장은 횡적인 확장을 의미하지만 송국리형 주거지에서의 확장은 면적의 확장 뿐만 아니라 기본구조의 결합에 의한 건축구조의 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송국리형 주거의 확장은 또다른 건축형식을 의미할 수도 있겠으나 근본적으로는 기본형의 조합이면서 변화·발전된 주거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증축·확장형과 보강형 등 상대적으로 면적이 큰 주거는 농경문화의 발전과 함께 전문적인 장인집단의 형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Customarily, the Songgungni-type dwelling has an oval hollow and post holes in the center of the dwelling and sometimes four additional posts. However, some examples of the complex structure which these internal facilities are mixed with can be observed and differ somewhat from the basic dwelling type. I would like to discuss these types of dwellings as ‘the transformed types’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Songgungni-type dwelling can be divided into some changes: rebuilding type, extension/expansion type, reinforcement type, and omission type.
    Rebuilding type and omission type are the transformed types which are made in a dwelling without a change in the size. The former changes the upper structure by reusing or remaking the oval hollow or central posts. The latter means the dwelling which doesn’t have the oval hollow established traditionally. In this point, the time period of the omission dwelling is assumed to be in the relatively late period . The rebuilding of the dwelling and the omission of the internal facility are considered to be a phenomenons which appear in a middle or small type dwelling. While big scale dwellings were built strongly and permanently, it is thought that the life of the small type dwelling was relatively short.
    Extension/expansion type related to the area expansion of the dwelling is the building that mixes more than two basic type of buildings. Therefore, this type is very big in appearance and can accomodate many people.
    The reinforcement type establishes the reinforcement post to hold central cross beam or outside cross beams safely rather than accomplishing big changes i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so it means the reinforcement of the dwelling. But the reinforcement type dwelling which is shown in type ②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area expansion because it is almost identical to the area of the extension/expansion type dwelling and bigger than the size of other type ②.
    The expansion of the rectangular or narrow rectangular dwelling means horizontal expansion, but the expansion of the Songgungni-type dwelling means a change in the architectural structure by combining a basic structure as well as expanding the area.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Songgungni-type dwelling could be the new or another type of the architecture but fundamentally it could be the changed and developed dwelling. It also could be considered a variation of the basic type. Especially, extension/expansion type and reinforcement type which have a relatively large area are assumed to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the expert artisan group and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e.
    In conclusion, because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Songgungni-type dwelling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adaptation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logical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technical power, the dwellers of the Songgungni-type who have lived in the southern area for hundreds of years may devise and adapt slightly different architectural techniques in reference to the areas in the common architecture culture. Therefore, the discovery of the various transformed types are considered proof showing the active and adaptational way of the Songgungni-type dwell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