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송국리형 묘제 연구의 최근 동향과 쟁점 (Recent Trends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Studies of Songgukri-style Tomb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2
27P 미리보기
송국리형 묘제 연구의 최근 동향과 쟁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82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오대양

    초록

    이글은 송국리형 묘제 연구의 최근 동향과 쟁점을 검토한 것이다. 특히 전기단계 묘제와의 연속성 문제, 그중에서도 고인돌문화와의 상관성 문제를 중심으로, 그러한 논의들의 주요 현안 및 결론에 이르게 되는 과정 등을 종합적으로 살폈다. 이와 함께 향후의 연구과제 및 이를 위한 방향성 제시 등 몇 가지를 검토하였는데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송국리형 묘제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던 초창기의 연구에서는 고인돌과 송국리형 묘제가 공반되는 사례가 드물어 양자를 배타적으로 보는 인식이 강하였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지속적인 자료의 축적을 통해 송국리문화와 고인돌은 일정한 지역성을 띠면서 상호간에 영향관계에 있다는 사실이 차츰 드러나고 있다. 둘째, 최근의 연구와 같이 송국리형 묘제가 형성 및 확산되는 과정에는 석관묘・석개토광묘・옹관묘 등의 전형적인 세트관계 외에도 보다 다양한 요소가 복합된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금강하류지역에 한정되어 전형성을 보이는 송국리형 묘제의 패턴은 ‘송국리문화의 묘제’중 하나일 뿐, 그 자체가 송국리문화 전체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는 지적이 관련 연구자들에게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그렇기에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고인돌과의 관계성 문제와 함께 여타 전기단계 묘제들과의 보다 포괄적인 측면에서의 관계성 고찰 역시 남겨진 과제가 된다. 셋째, 고인돌의 덮개돌과 달리 석관묘의 개석은 외부에 노출될 목적이 부여되지 않는다. 그러한 맥락에서 송국리 1호 석관묘의 개석이 한 장의 커다란 판석재로 구성된 점, 그리고 그 상면에 다수의 성혈이 새겨져 있는 점 등은 여러모로 보아 덮개돌(고인돌)의 규격과 기능(노출)을 차용한 듯한 인상을 준다. 유력자의 무덤을 조성함에 있어 상호 이질적인 두묘제의 유사한 상장풍습을 공유하거나 제 요소가 복합된 현상은 여러 가지 면에서 시사점을 준다. 그렇기에 두 묘제의 요소가 복합되어 있는 송국리1호 석관묘의 기능과 성격에 대한 문제 역시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이는 결국 석관묘가 중심이 되는 송국리형 묘제의 출현 및 형성과정에 있어 전기 단계의 묘제, 그중에서도 고인돌과의 관계를 고찰하는 문제로 다시 회귀된다. 또한 송국리 1호 석관묘의 시간적 위치를 재점검함은 물론 그 조영집단의 성격문제, 나아가 송국리유적내 전기와 중기집단의 연속성 문제를 아울러 고찰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views recent trends and controversial issues of the studies of Songgukri-style tombs. Focusing on the continuity with the tombs in the earlier stage, especially for the correlation issues with dolmen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major issues comprehensively and the whole process to reach to conclusions. This study also reviewed several aspects such as further research tasks and suggestions for research direction to pursue. The major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stage of research when the concepts of Songgukri-style tombs were not clear, there were few cases in which dolmen and Songgukri-style tombs were accompanied. For this reason, there were strong tendencies to recognize both exclusively. However, through the steady accumulation of materials since the 1990s, it has been gradually revealed that there were influential relations mutually between Songgukri culture and dolmens showing specific locality. Seco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elements were mixed in the process to form and expand Songgukri-style tombs, rather than typical set relationships such as stone-lined tombs, stone-lined tomb, pit-type tombs with a stone lid, and jar-coffin tomb. In particula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typical patterns of Songgukri-style tombs which were restricted to the downstream region of Geumgang River are just "one of the tombs of Songgukri culture" and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Songgukri culture. Many relevant researchers agreed about this point of view. Therefore, investigations on its relationship with dolmens, which was studied intensively in this study, are the research tasks to pursue along with studies of relationship with other tombs in early times in more comprehensive aspect. Third, the stone lid of stone-lined tombs, unlike the stone lids of dolmens, had no purpose to be exposed outside. In that sense, the stone lid of the Songgukri stone-lined tomb #1 gave an impression that it adopted the size of the stone lid of dolmen and function (exposure) in the aspects that it consists of a single big panel stone and there were many holes on the surface of the top. It was noted that similar funeral conventions were shared in such different tombs and various elements were mixed there, which provides a lot of suggestions. Therefore, issues on the functions and nature of the Songgukri stone-lined tomb #1, which had mixed elements of two tombs, would be an important research task. Such issue returns to the topic of the relationship with tombs in early times, especially for with dolmens when studying the emergence and formation process of Songgukri-style tombs, which were mostly stone-lined tombs. In addition, further studies can review the times of the Songgukri stone-lined tomb #1 as well as the nature of the group that built the tombs, and the continuity issue of early and middle-stage tombs in the relic site of Songgukr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