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扶餘 陵山里寺址 木簡을 통해 본 백제의 불교 의례 (Buddhist rites of Baekje based on the wooden tablet of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6
32P 미리보기
扶餘 陵山里寺址 木簡을 통해 본 백제의 불교 의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4호 / 55 ~ 86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웅

    초록

    본고는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백제의 다양한 목간을 통해, 이곳이 유교·불교·도교의 사상이 불교의 범주 내에서 융화된 의례가 행해졌던 복합적인 불교 사원이었음을 살펴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능산리사지 발굴을 통해 강당지 일대가 목탑과 금당보다 먼저 건립된 유교식 제례 건축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후 이곳이 불교 사원으로 변화되면서 불교와 함께 다양한 성격을 복합적으로 가지게 되었음을 살폈다. 필자는 이곳을 백제 사비기의 특징적인 제사인 五帝를 모시는 유교식 祭場이었다가, 위덕왕 시기인 567년에 妹兄公主가 목탑에 사리를 매납하면서 불교 사원으로 개편되었고, 이에 따라 불교와 유교의 성격이 융화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특히 같은 위덕왕 시기인 577년에 왕이 직접 죽은 왕자를 위해 목탑을 건립한 왕흥사 지역도 능산리사지와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어, 서로 성격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목간을 대략 5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었다. 먼저 ‘天’銘 刻墨書木簡은 원래 오제 제사의 제장이 불교 사원으로 변화하면서 장승의 시원이 되는 성격을 지녔음을 살폈다. 이어 ‘三貴’, ‘六卩五方’, ‘再拜’ 목간을 통해서는 바로 옆의 능산리 고분군과 관련된 불교식 상장례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을 살폈다. 또한, 창고와 물품 관련 목간을 통한 신성한 불교 의례의 가능성과, 관등을 지닌 인물 목간 및 支藥兒食米記 목간을 통해 불교 의학과 관련된 불교식 주술 의례의 모습도 살폈다. 마지막으로 불교와 관련된 목간에 나타난 날짜를 통해 석가탄신일의 行像 의례와 열반일 중시 및 行香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영어초록

    Through the various wooden tablet of Baekje, which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This Temple Site examined that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ideas were a complex Buddhist temple where rituals were held within the Buddhist category.
    In Chapter 2, the excavation of Neungsan-ri Temple Site revealed that the area of the lecture hall was built earlier than the wooden pagoda and the main building, and later, the temple was transformed into a Buddhist temple, which led to a combination of diverse characteristics with Buddhism. In this research, we could found that this place was a Confucian site dedicated to the characteristic ancestral rites of the Baekje Sabi period, but was reorganized into a Buddhist temple in 567 during the reign of King Witŏk(威德王) when the first princess(妹兄公主) buried Sari in a wooden pagoda, thereby harmo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particular, Wangheungsa Temple, which built a wooden pagoda for the prince died in 577 during the same period of King Witŏk(威德王)’s reign, had a similar structure to Neungsan-ri Temple Site, so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ther.
    In Chapter 3, through the wooden tablet excavated from the Neungsan-ri Temple Site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First, the wooden tablet which written in “天” shows that the temple was originally for the ancestral rites of Ohje(五帝), and it turned into a Buddhist temple, and it becoming the temple of Jangseung. And we coul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 Buddhist funeral related to the Neungsan-ri Ancient Tombs right next to them through the wooden tablet of “三貴”, “六卩五方” and “再拜.” It also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acred Buddhist rites through the wooden tablets about warehouses and stuffs, and Buddhist shamanistic rites related to Buddhist medicine through the wooden tablet of figures with official rank and the wooden tablet of “支藥兒食米記”. Lastly, we examined the rites of Buddha’s Birthday, the importance of Nirvana, and incense-burning ritual Based on the Buddhist-related wooden table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