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령왕릉 팔찌에 대한 새로운 이해 (A Study on the Bracelet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8
31P 미리보기
무령왕릉 팔찌에 대한 새로운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2호 / 23 ~ 53페이지
    · 저자명 : 이한상

    초록

    이 글은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팔찌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팔찌 소유자의 성별과 착장방식, 형태와 문양을 검토한 다음 그것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하여 다른 자료와 비교하였다.
    무령왕릉에는 왕과 왕비가 함께 묻혔는데, 팔찌는 왕비의 유해부에서만 출토되었다. 6쌍의 팔찌 가운데 다리작(多利作) 은팔찌 1쌍은 왼팔, 각목문(刻目文) 금팔찌 1쌍은 오른팔에 착장된 양상이며 팔찌를 세트별로 모아 착장시킨 점이 주목된다. 4쌍의 팔찌는 왕비의 발치 쪽에 놓여 있었다.
    신라 왕족묘에서는 이와 같은 착장방식이 확인되지 않는다. 5세기 후반 이후의 신라 고분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팔찌가 출토된다. 또한 무령왕릉의 사례와 달리 착장 시 좌우의 구분이 없다. 즉, 동일한 형태의 팔찌를 여러 개 만들어 좌우 팔에 나누어 착장시키는 방식이 유행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팔찌가 여성의 유해부에서 주로 출토된다. 양호한 인골이 남아 있는 북위묘에서는 팔찌가 여성 피장자의 팔목 부위에 끼워진 채 출토되기도 한다. 착장방식은 남쪽과 북쪽에 차이가 있다. 즉, 동오~남조묘에서는 무령왕릉처럼 팔찌를 세트별로 모아 착장하는 방식이 유행하였고, 북위묘에서는 신라처럼 1점씩 나누어 좌우 팔에 착장하는 경우가 많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3류의 팔찌 가운데 다리작 은팔찌와 마디 팔찌는 백제에서만 보이는 유형이다. 자료의 부족 때문에 계보 추적이 어려우며 웅진기에 한정적으로 유행한 팔찌라 할 수 있다. 근년 공간된 다리작 은팔찌 신보고문을 분석한 결과 용문 도상에 대한 기왕의 이해에 일부 오류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기에 수정 의견을 기술하였다. 각목문 팔찌는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유행한 국제적 유형이다. 이 팔찌의 계보는 중국 동진ㆍ남조에서 찾을 수 있고 5세기 중엽에 대가야로, 5세기 후반에는 신라로 파급된 것 같다.
    무령왕릉의 사례가 잘 보여주듯 삼국시대의 금은팔찌는 왕족묘나 귀족묘에서 주로 출토된다. 특히 금팔찌는 사회 최상부를 구성했던 인물들이 제한적으로 소유하였다. 동팔찌의 경우 금은팔찌의 소유자에 비하여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인물이 소유한 것 같다. 6세기 이후 팔찌의 소유가 확산되지만 금팔찌나 은팔찌가 출토되는 사례는 여전히 적고 동팔찌가 다수를 점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ed the bracelets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Baekje. The key point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the bracelet was owned only by women and how it was worn in Baekje.
    Six pairs of bracelets were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1971. The royal tomb was buried with the king and queen, and the bracelets were only found on the queen's wooden coffin. A pair of silver bracelets were found on the queen's left wrist and a pair of gold bracelets on her right wrist. And there were four pairs of bracelets around the queen's feet.
    Most of the bracelets excavated from ancient Chinese tombs belonged to women. This is the same as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n Baekje. On the other hand, Silla differs from those of China and Baekje. In other words, not only women but also men were buried in tombs in Silla wearing bracelets.
    In the Six Dynasties, which were capitalized in Nanjing, China, the materials and shapes of bracelets worn on the left wrist and right wrist were different, as was the case with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Northern Wei and Silla, the bracelets on the left wrist and right wrist are the same. In particular, Silla made several bracelets of the same shape and divided them into the left and right wrists.
    Among the three types of bracelets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one pair of silver bracelets engraved with the name of the producer one pair of silver bracelets bearing the manufacturer's name and two pairs of gold and silver bracelets woven with four joints are unique to Baekje. By comparison, the bracelet with the serrated decoration on the surface of the bracelet is a style popular in many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was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However, due to the large difference in shape from the Chinese bracelet, it was changed to the style of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