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르꼬르뷔제의 공간구성요소로서 가구사용 연구 (A Study on the Spacial Usage of Le Corbuisier with the Built-in Furniture)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0.10
8P 미리보기
르꼬르뷔제의 공간구성요소로서 가구사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5호 / 21 ~ 28페이지
    · 저자명 : 김소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축 공간의 구성요소로서 가구에 대한 충분한 고찰과 이해를 통하여 가구가 공간속에서 건축화되고 공간을 표현하는 필수적이고 통합된 요소의 역할을 함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근대성과 함께 공간의 효율성, 경제성, 융통성을 드러내는 기능적 가구, 공간적 가구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 르 꼬르뷔지에의 가구에 대한 건축 공간적 이해에 대한 논지를 확고히 하여 현대 건축 공간에서 가구의 배치와 적용에 있어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공간화, 건축화하는 통합된 계기의 가능성을 부여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근대성과 함께 르 꼬르뷔지에의 가구에 대한 사상과 이해를 고찰하고 당시 거장이었으며 가구 작업에도 관심을 보여왔던 미스와 알토의 건축 공간속의 가구 사용을 함께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빌트인 가구 등 공간속의 가구의 등장은 주거 영역에서 가장 많이 대두되어 있는데 르 꼬르뷔제의 대표 작품인 사보아 주택을 중심으로 공간속에서 가구가 어떠한 형식으로 사용되고 공간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건축공간화 되어 적용된 가구의 양상은 사보아 주택의 사례와 같이 빌트인 가구의 형태로 건축 계획시 이미 고려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건축물의 형태적 공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선반에 사용된 받침기둥은 사보아 주택의 필로티 형식을 작은 스케일의 내부에서 표현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뿐만 아니라 부부 욕실은 공간 분할의 효과와 사용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밖에 붙박이장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해 주고 또 공간과 공간을 분할하여 각각의 공간 성격을 명확히 하는데 충실한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공간구성요소로서의 가구는 입면의 연속성과 공간분리를 통해 건축 형태 요소의 변형을 주는데 이 때, 바닥, 천장, 벽과 같은 형태요소는 공간의 형태를 결정하고 이들 중 벽이 가장 다양한 형태를 취하고 가변성이 크다. 또한 가구는 단위 공간 내 또한 공간 사이에 배치되어 공간 한정을 통해서 동선을 형성한다. 그러나 가구가 동선을 만드는 방법은 물리적인 것 외에도 있다. 바로 시선의 방향과 시야 조정을 통한 유도에 의해서이다. 시선의 방향 조정이란 가구를 통해서 시선을 차단하여 시선의 방향을 다른 곳으로 유도함으로써 동선을 유도할 수 있고, 가구 자체가 오브제(objet)가 되어 시선을 끌어당기기도 한다. 또 시야를 확장시켜 동선의 진행을 계속되게 하거나 반대로 시야를 좁혀 동선의 진향 방향을 바꾸도록 할 수 있어 시선의 방향과 시야를 조정하고 인간의 행태에 변화를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과 공간의 연결하고 분할하여 데드 스페이스 없이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기능주의적이고 합리적인 건축공간 안에서 이러한 공간구성요소로서의 가구를 적절히 이해하고 건축 공간화하여 사용한다면 건축물의 내 부 공간은 서로 통일된 의사소통을 통해 디자인과 기능에 있어 완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purposed to understand the spacial usage of the furniture in detail for interior architecture. Many documents have prescribed the spacial furniture at random. While modernist have been interested in the spacial usage of the furniture, the importance of the spacial furniture stands out in architectural space. Since long ago, a great deal of effort has been put into creating a relational harmony between the space and furniture.
    The villa, the weekend home of the Savoye family, was built between 1928 and 1931. Particularly, the villa Savoye was focused for this study. Le Corbusier viewed desks and case pieces for storage as architecture, and he unite furniture and architecture by developing cabinets in standard modules that could be painted either the wall color to become part of the wall or in contrasting colors to stand out as furniture.
    Spacial furniture was used architecturally in the interior as well, it gives the space an unexpected playfulness with the color of the finishing materials. The various usage of the Spacial furniture constitute an element of great architectural richness. They have a unique principle based on emotional order and make the man move to another space and experience the spacial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furniture that was considered by Corbuisier have rational function, division of the space, leaning the structure, and so on. The furniture as the element of the space composition can change the architectural space and view as well as connecting each other. Spacial furniture appear as physical ones called wall, floor, column, and existential value as a living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