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바르까르와 간디의 역사 인식 (Savarkar and Gandhi: A Study of Their Historical View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3.06
30P 미리보기
사바르까르와 간디의 역사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19권 / 1호 / 1 ~ 30페이지
    · 저자명 : 박금표

    초록

    본 논문에서는『1857년 인도 독립 전쟁』과『힌두 스와라지』를 통해 볼 수 있는 간디와 사바르까르의 역사 인식 그리고 그 역사 인식에 바탕을 둔 스와라지의 개념과 스와라지 달성방법의 차이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간디와 사바르까르는 역사의 기록보다는 그 안에 내재되어 있거나 기록되지 않은 원리에 더 방점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바르까르는 역사적 사건이 기술하는 사람의 의도나 이익을 위해 왜곡되어 있다면 제대로 된 시각으로 그것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특히 혁명이라는 사건을 다룰 때는 단순한 사건으로 보는 것을 지양하고 그 사건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려 노력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한 시각으로 1858년 세포이 사건을 본다면 영국인이 왜곡하고 인도인들이 의식 없이 복제한 기술 내면에서 힌두와 무슬림이 단합하여 스와라지를 달성하고자 한 분명한 혁명 정신을 읽어 낼 수 있었다고 본 것이다. 한편으로 간디 역시 기록의 역사 내면에 있는 원리를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그에게 역사의 기록이란 왕과 전쟁의 연대기 이상의 의미는 없으며, 오히려 기록되지 않은 민중의 보편적인 삶이나 전승에 기록되어 있는 것들이 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혼의 힘을 살려내고 미래의 행동 양식을 알려주는 교훈이 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두 사람의 역사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스와라지의 개념과 달성방법론의 차이로 나타났다. 간디는 수동적 저항을 통한 개개인의 스와라지가 달성될 때, 사회와 국가의 스와라지 달성이 가능하며, 폭력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동원하여 영국을 물리치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스와라지를 이룰 수 없다고 보았다. 그러나 사바르까르는 진리의 시대가 아닌 때, 즉 식민지 인도에서 자국의 땅과 종교가 짓밟히고 있을 때, 스와라지 달성은 인도를 점령하고 있는 영국을 몰아내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어떠한 방법도 정당하지 않은 것이 없다고 보았던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considered deeply: Savarkar's view of the history, Gandhi's view of it, their distinctive concepts of Swaraj based on their views of it, and their different ways to attain Swaraj.
    In Hind Swaraj or Indian Home Rule and The Indian War of Independence of 1857, both of them said that the principles which were inherent or implicit in history or the ones which were not recorded in it should be more emphasized rather than the record of history.
    Savarkar thought that, if historical events were distorted by the intentions or interests of the recorder, one had to correct them with the right perspectives. And also he asserted that in writing the history of revolutionary movements, a writer should not consider it as a simple accident or a accidental events,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investigate and determine what caused it to happen. And Savarkar emphasized the following: when Sepoy case in 1858 is considered with his perspective, impartial historian will be able to read definite revolutionary spirit from the description of history that distorted by the English and copied by the Indian without any consciousness, and also will know that Sepoy case was aimed to attain Swaraj through unity of the Hindu and the Muslims.
    On the other hand, Gandhi also argued that the principles imbedded in the inner side of the record of history should be found out. But he thought the record of history did not mean more than just a chronicle about kings and wars. He believed universal human life that are not recorded in history was more meaningful, and the epic or traditions is far more useful to restore the soul-force and to tell the patterns of behavior in future.
    Gandhi and Savarkar, they had a different definition for Swaraj and means to attain it, and then these are derived from differences in their cognition about history. Gandhi thought that all individuals gained Swaraj through passive resistance and then only the society and nation will be able to attained Swaraj. Also, he emphasized that true Swaraj could not be attained just through defeating Britain by using physical forces like violence. But Savarkar declared that attaining swaraj meant to eliminate or uproot British Rule and there was nothing unjust to do that, because their own country and religions have been insulted by Britain during the colonial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아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