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악력과 총 사망률, 원인별 사망률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패널조사(2006–2016) (Association of Grip Strength with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nalysi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06–2016))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9.10
10P 미리보기
악력과 총 사망률, 원인별 사망률과의 연관성: 고령화 연구패널조사(2006–2016)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가정의학회
    · 수록지 정보 :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 9권 / 5호 / 438 ~ 447페이지
    · 저자명 : 김소미, 최송화, 유정은, 이정권

    초록

    연구배경: 악력은 간편하게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서 사망률 및 질병 이환율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나 한국인을 대상으로 건강 장기 지표와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가 없어 중고령자 한국인을 대상으로 악력과 사망률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령화 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의 1차 기본 조사 자료와 2년마다 추적 조사를 통해 얻은 사망자 자료를분석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라 악력을 삼분위로 구분하여 악력에따른 총 사망률 및 심장 질환, 뇌졸중 및 암 사망률과의 연관성을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령, 학력,결혼 상태, 취업유무, 가구 총소득, 규칙적 운동 여부, 흡연, 음주,body mass index, activities of daily living 유무, instrumental activities ofdaily living 유무, 우울증,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암, 심장 질환, 뇌혈관 질환) 유무를 보정하였다.
    결과: 남녀 모두에서 저악력군에 비해 고악력군에서 총 사망률 위험비가 감소하였다(남자: HR=0.580, 95% CI=0.478–0.704; 여자:HR=0.601, 95% CI=0.483–0.747). 암 사망률의 경우 남성에서 저악력군에 비해 중, 고악력군에서 위험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중악력군: HR=0.697, 95% CI=0.514–0.945; 고악력군: HR =0.589, 95%CI=0.427–0.812)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심장 질환에 의한 사망률은 남성에서는 저악력군에 비해 중, 고악력군에서위험비가 낮았으나(중악력군: HR=0.453, 95% CI=0.278–0.738; 고악력군: HR=0.538, 95% CI=0.332–0.871)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의 경우 남성에서는 공변수를보정하기 전에는 악력 증가에 따른 위험비 감소가 유의미하였으나변수 보정 이후에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성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결론: 한국인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악력과 총 사망률 및 남성에서심장 질환, 암 사망률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여 건강예측인자로서의악력의 가능성을 보였다. 한국인에서 연령에 따른 저악력의 기준을정하고 이에 따른 저악력자 선별 및 중재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Grip strength has been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mortality and disease morbidity.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rip strength and mortality in middle aged and elderly Korean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participant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from 2006 to 2016.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grip strength, all-cause mortality, and cause-specific mortality according to age and sex,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Results: The adjusted hazard ratio (HR) for all-cause mortality was decreased in the high grip strength group (male: HR=0.580, 95% confidence interval [CI]=0.478–0.704; female: HR=0.601, 95% CI=0.483–0.747) compared to the low grip strength group in both sexes. In male, cardiovascular mortality (middle group: HR=0.453, 95% CI=0.278–0.738; high group: HR=0.538, 95% CI=0.332–0.871) and cancer mortality (middle group: HR=0.697, 95% CI=0.514–0.945; high group: HR=0.589, 95% CI=0.427–0.812)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middle and high grip strength groups compared to the low grip strength group. The HR for mortality due to stroke in male de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grip strength, but this became non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covariates. No association between cause-specific mortality and grip strength was found in female.
    Conclusion: In this study, grip strength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all-cause mortality, with similar effects on cause-specific mortality due to heart disease and cancer in male. Grip strength is a useful predictor of health status, an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its clinical relevance in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