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림유사(鷄林類事)』에 나타난 용언 활용 분석 (An Analysis of Predicate Conjugation in Gyerimyusa(鷄林類事))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12
44P 미리보기
『계림유사(鷄林類事)』에 나타난 용언 활용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43호 / 117 ~ 160페이지
    · 저자명 : 신현규

    초록

    본 연구는 宋의 孫穆이 남긴 『鷄林類事』에 수록된 고려방언 항 중에서 용언항을 추려서 품사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용언의 어간을 포함하는 항을 추려서 기존 연구의 해독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기해독항과 새로 분석할 만한 재분석항으로 나누고, 이들을 분석하여 용언 활용을 논할 수 있는 용언항을 확정한 뒤에 어간과 어미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형용사항과 동사항은 유의미한 경향 차이를 드러내었다. 첫째, 형용사항은 28개, 동사항은 49개로 확인되어서 동사항의 수가 더 많았다. 둘째, 형용사항은 26개가 동명사형 어미 ‘-ㄴ, -ㄹ’을 취하여 어미의 편중이 뚜렷하였고 동사항은 16개가 어간형이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 어간형은 형용사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어서 상이하였다. 셋째, 형용사항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어간은 ‘하[大]-’, 그다음은 ‘ᄒᆡ[白]-’와 ‘앛[少]-’이어서 문화 배경을 드러내고 동사항에서 가장 많이 등장한 어간은 ‘오[來]-’이고 그다음으로 ‘디[下, 降]-’, ‘ᄃᆞ리[領]-’와 ‘마시[飮]-’여서 채록 당시에 손목이 접하였던 환경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렇게 품사별로 보이는 양적, 질적 차이는 용언항이라는 하나의 틀에서 분석되었던 형용사항과 동사항을 구분하여 다루어야 할 필요성을 가리킨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predicate entries among the Goryeo dialect entries included in Gyerimyusa (鷄林類事, Jilinleishi), a text authored by Sun Mu (孫穆) during the Song Dynasty (宋), based on parts of speech. To achieve this, entries containing predicate stems were first extracted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entries previously interpreted in existing researches (pre-deciphered entries) and entries requiring new analysis (re-analyzed entries). The confirmed predicate entries, capable of contributing to discussions on predicate conjugation, were then statistically analyzed in terms of their stems and ending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jectival and verbal entries. First, 28 adjectival entries and 49 verbal entries were identified, with a greater number of verbal entries. Second, among the adjectival entries, 26 featured gerundial endings such as ‘-ㄴ(n)' and ‘-ㄹ(l)', indicating a marked preference for specific endings. In contrast, 16 verbal entries were found in stem form, representing the largest proportion among verbal entries, whereas this form was absent in adjectival entries, highlighting a divergence. Thir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adjectival stems were ‘ha/하[大]' (“big”), followed by ‘hʌj/ᄒᆡ[白]' (“white”) and ‘ach/앛[少]' (“little”), reflecting cultural contexts. In verbal entries, the most frequent stems were ‘o/오[來]-' (“to come”), followed by ‘di[下, 降]-' (“to descend, to fall”), ‘dʌri[領]-' (“to lead, to place”), and ‘masi[飮]-' (“drink”), indicating the environmental context Sun Mu encountered during documenting.
    The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in parts of speech suggest the need to address and handle adjectival and verbal entries separately in researches on Gyerimyu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