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안 睡仙樓를 통해 본 道家的 자연관과 풍류문화 (A Study on the Poongryu and Taoist Views on Nature through Soosun-ru in Jinan-Gu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9.12
10P 미리보기
진안 睡仙樓를 통해 본 道家的 자연관과 풍류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7권 / 4호 / 83 ~ 92페이지
    · 저자명 : 신상섭, 노재현, 신병철

    초록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에 위치한 수선루의 장소성 및 조영특성을 분석하여 누정문화에 투영된 도가적 자연관과 풍류문화를 구명하기 위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선루는 1686년(숙종 12년) 연안 송씨 사형제가 섬진강 상류 오원천변 암굴 위에 道義를 연마하고 산수경관을 즐기기 위해 조성하였는데, 조망-은신처이론에 충실한 절묘한 승경처에 자리하고 있다. 둘째, 입지적으로 수선루 입구에 새긴 ‘睡仙樓 洞門’, 그리고 루가 자리한 암벽 동굴(洞天), 거북재, 오원천의 ‘龜沼라는 명칭(거북은 장수, 月宮과 龍宮, 海中 仙界를 오가는 상징동물) 등에서 仙界의 염원을 담은 신선경의 경관짜임을 은유하게 된다. 셋째, 수선루는 駬山九曲의 제2곡으로 회자되며, 오원천 하류의 四仙臺와 연계되는 등 17~18세기 성리학적 세계관을 반영 한 풍류미학을 발견하게 된다. 넷째, ‘신선이 자는 누’란 뜻의 수선루는 ‘낮잠 풍류’와 관련되는데, ‘睡仙’에 담긴 의미는 莊子의 ‘胡蝶夢’과 일맥상통하는 ‘逍遙遊’의 개념으로 ‘道와 하나가 된 상태에서 유유자적하는 자유의 경지’를 표출하고 있다. 다섯째, 수선루는 중국 진나라 협서성에서 은거한 商山四皓의 기상을 은유적으로 담아내고 있는데, 세상의 근심걱정을 잊어버리기 위해 약초 캐고 바둑 두는 은일사상과 遊와 息의 풍류문화를 추적할 수 있다. 특히, 풍류를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가 ‘자연 친화’ 그리고 ‘자유로움’이라 할 때 ‘수선루’는 신선경의 경관짜임을 이룬 자연친화적 누정이 되며 ‘누정에서의 잠’은 생명사상이 깃든 가장 자유스러운 풍류(山水流+心流)미학 체험 행위가 된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study lies in identifying Taoist views on Nature as well as the traits of the Poongryu culture(風流) that are deeply figured into Korea's Nujung(pavilion) culture by analytically getting closer to the geomantic environs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osun-ru(睡仙樓) located in Maryung-myun, Jinan-gun, the results of which are outlined below: First, in view of its geomantic environs, Soosun-ru is located in a superb ‘fairyland' strictly in compliance with the concept of ‘escape and reliance' depending on a non-omnipresent placement at the streamside of Ohwon in the upper river of Seomjinkang. It was constructed by four brothers in the Song family in 1686 in an attempt to push themselves toward Taoism and enjoy the beautiful scenery. Second, in terms of the nomenclature found at, for example, the Soosun-ru Dongmun(睡仙樓洞門), Dongcheon(洞天) in relation to the pavilion, and the Guso(龜沼) in relation to the Ohwon stream, the implicit meaning for the word turtle was as a symbolic animal representing longevity and a mysterious liaison bridging the palaces of the Moon and the Sea, epitomizing the deep desire of Koreans to reach the unknown fairylands. Third, Soosun-ru correlates with Gugok(九曲) culture, a key element in the landscaping matrix constituting Poongryu culture as a result of to its unparalleled grandeur in landscaping, which was great enough to be highly praised in Isan-gugok's 2nd poem. Specifically, aesthetic beauty was long cherished in the Chosun Dynasty an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blending with the Confucian world-view as a target of Poongryu. Fourth, Soosun-ru, which literally refers to an pavilion for Sinsun(神仙) to take a nap, relates to the so-called ‘napping Poongryu', further connecting it to Chuangtzu's ‘Hojeop-mong(胡蝶夢)' and staying consistent with the philosophy of ‘Soyoyu(逍遙遊)' in pursuit of an idyllic and unbound lifestyle setting, free from tenacity and obsession over worldly cares and things. Fifth, regarding the investigation of the literature, The idea of Soosun-ru stems from ‘Sangsan-saho(商山四皓)’ in the Jin Dynasty of China, who lived their elegant lives away from the mundane world with go-games and the occasional hunting for herbs in mountains, commonly interpolated as the epitome of Poongryu culture. In light of the fundamental features of Poongryu involving placing much weight on maintaining an ‘eco-friendly' and ‘freedom-pursuing' manner, Soosun-ru is truly fit to be a showcase architecture having a landscape aesthetic tinted with Taoist thought while napping or relaxing in a heavenly pavilion provides the concept of the freest and truest sense of Poongryu which is to enjoy the sense of one's life spir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