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공간에 구현된 한식―《용과 같이(龍が如く)》시리즈 속 음식과 정체성의 서사 (Korean Cuisine in the Digital Realm-The Narrative of Food and Identity in the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5.02
36P 미리보기
디지털 공간에 구현된 한식―《용과 같이(龍が如く)》시리즈 속 음식과 정체성의 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9권 / 1호 / 259 ~ 294페이지
    · 저자명 : 이은우

    초록

    본 연구는 일본 게임 프랜차이즈 시리즈 《용과 같이》를 통해 한식이 게임 내에서 어떻게 재현되며, 이를 통해 한식 및 (재일)한국인에 대한 일본 사회의 인식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용과 같이》 시리즈는 장소성에 기반하여 사실적이고 밀도 높은 세계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게임 속 음식 콘텐츠 역시 이러한 연장선에서 세밀하게 재현되며, 단순한 체력 회복을 위한 도구를 넘어 서사 전개와 캐릭터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식 관련 콘텐츠는 또한 한국 혹은 (재일)한국인이라는 국가와 민족 정체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기능한다. 시리즈는 도쿄, 오사카, 요코하마 등에 위치한 다양한 한식당의 인테리어, 메뉴 구성, 설명 등을 통해 현실의 장소성을 사실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어가 가상 세계 속에서 음식 관광이라는 실제와 유사한 문화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용과 같이》 시리즈의 비교적 초기부터 등장하는 한식 관련 콘텐츠는 최근작인 <용7> 이후부터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한식당이라는 장소를 통해 한국어의 문자와 음성을 노출하고, 코리아타운이라는 장소성을 드러내는 등 한식은 게임 내 보이지 않는 (재일)한국인의 존재를 가시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시리즈가 다루는 핵심 서사의 탈야쿠자화가 진행되면서 캐릭터가 다변화되고, 여기에 K-컬쳐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재일)한국인 캐릭터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활약하면서 비롯된다.
    《용과 같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한식당은 ‘한국―(재일)한국인―일본인’으로 구성된 거대한 시장과 미각의 스펙트럼 안에서 다양한 아비투스를 이루고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재일)한국인의 정체성에 한국과 일본의 민족성이 공존하듯 게임 속 한식당과 한식의 메뉴 구성 방식에도 특유의 혼종성이 반영된다.
    특히 김치는 게임 내에서 한식의 상징적 기호로 자리 잡으며, 한식이 단순한 음식 그 이상으로 인식됨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그러나 게임 내에서 김치의 핵심 재료로 일본 자생 고추 품종인 ‘오니노츠메’를 사용하는 설정은 한식의 정체성을 왜곡할 수 있는 논쟁적 요소로 작용한다. 이는 음식이 국가적ㆍ민족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기호이며 게임이 재현하는 풍경이 현실 세계의 사회적ㆍ정치적 의미를 담아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레비스트로스의 개념에 따라 한식의 조리 방식을 분석한 결과, 게임 속 한식은 야만과 문명, 소멸과 재생이라는 이항 대립 구조 속에서 서사적 의미를 부여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용과 같이》 시리즈 속 한식 재현은 일본 내 (재일)한국인에 대한 시각과 한식이 일본에서 지니는 문화적 위상을 드러내는 사례로써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게임 속에서 한식은 표면적으로는 체력 회복을 위한 수단이 되지만, 이면적으로는 일본 사회가 바라보는 한국과 (재일)한국인의 정체성을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기호로 기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게임 콘텐츠가 현실 세계의 사회적 인식과 문화적 정체성을 어떻게 재구성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사례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Korean cuisine is portrayed within the Japanese Game Franchise Series Like a Dragon(龍が如く) and how this reflects Japanese society’s perception of both Korean cuisine and Zainichi Koreans. A distinctive feature of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is its realistic and densely detailed world-building, grounded in the sense of place. The game’s food-related content aligns with this characteristic, intricately replicating various dishes and venues. Notably, food in the game serves not only as a means of restoring health but also as a key element in narrative progression and character identity formation.
    Korean cuisine-related content serves as an important symbolic element, representing the national and ethnic identities of Korea and Zainichi Koreans. The series meticulously recreates real-life settings by replicating the interior design, menu offerings, and descriptions of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Tokyo, Osaka, and Yokohama. This approach allows players to engage in a cultural experience akin to culinary tourism within a virtual world.
    From its earlier installments, the series has featured Korean cuisine, but this presence has become increasingly prominent since Like a Dragon 7. The portrayal of Korean restaurants, complete with visible Korean text and audio, highlights the existence of Zainichi Koreans within the game’s narrative. This shift coincides with the series’ move away from its original Yakuza-centric storyline, introducing more diverse characters and reflecting the growing influence of K-culture, leading to the emergence of new Zainichi Korean characters.
    The Korean restaurants depicted in the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demonstrate a diverse range of culinary offerings and cultural hybridity, reflecting the shared ethnic identities of Koreans and Japanese among Zainichi Koreans. Notably, the menus and their composition in the game signify differing national and ethnic identities. Korean cuisine, particularly kimchi, becomes a symbolic marker of Korean identity, representing something more than mere sustenance.
    Kimchi, in particular, occupies a central position as a symbolic icon of Korean cuisine in the game. However, the depiction of kimchi’s key ingredient as a fictional Japanese chili pepper variety called “Oni no Tsume” raises concerns about potential distortion of Korean culinary identity. This indicates the game’s potential to convey social and political meanings that extend beyond its virtual landscape.
    Moreover, analyzing the cooking methods of Korean cuisine in the game through the lens of Lévi-Strauss’s theory reveals the binary opposition of civilization versus savagery, as well as the themes of destruction and regeneration. The study confirms that Korean cuisine in the game is imbued with narrative significance within this framework.
    In conclusion, the portrayal of Korean cuisine in the Like a Dragon(龍が如く) series holds significant meaning as a reflection of Japanese perspectives on Zainichi Koreans and the cultural status of Korean cuisine in Japan. Within the game, Korean cuisine functions as more than a tool for restoring health—it serves as a symbol encapsulating the identity of Koreans and Zainichi Koreans as perceived by Japanese society.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game content can reconstruct social perceptions and cultural identities in the real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