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해 용두산고분군 용해구역 M13·M14 고분의 위상과 그 주인공에 대한 시론적 고찰 (A Study on the Status and Buried Persons of M13·M14 at the Longhai tombs(龍海古墳) in Longtoushan graveyard(龍頭山古墳群))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6
21P 미리보기
발해 용두산고분군 용해구역 M13·M14 고분의 위상과 그 주인공에 대한 시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선사와 고대 / 56호 / 63 ~ 83페이지
    · 저자명 : 김진광

    초록

    본고는 발해 왕릉 귀족 무덤인 용두산고분군 용해구역 M13·M14의 위상과 그 주인공에 대해 시론적으로 검토한 글이다. 금관 등 고급 유물이 출토된 M13·M14는 발해 고분 중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적이 없는 독특한 유형의 동봉이혈전곽목관묘로, 지상부에는 사찰 구조와 유사한 건축물이 남아 있다. 이러한 예는 고구려 왕릉을 비롯하여 육정산고분군, 삼릉분과 팔가자촌 하남둔고분 등 토광묘, 석실묘 그리고 전실묘에서 확인되었다. 사찰과 유사한 점이 확인된 묘상 건축은 곧 제례를 위한 공간을 넘어 종교적 시설물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자료를 보면, 피장자를 분명히 알 수 있는 고분은 775년 효의황후묘, 780년 정혜공주묘, 792년 정효공주묘, 830년 순목황후묘 등이다. 이 고분의 양식은 석실묘, 전실묘로 대별된다. 전실묘는 특정 시기 용두산고분군에서만 보이는 특별한 양식이지만 동 시기 발해의 중심 묘제는 석실묘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M13·M14가 전실묘보다 고식의 묘제로 조영되었다는 점과 왕관 등 고급 유물이 출토된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이것은 왕릉급 무덤으로 인식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묘제의 유형과 매장 유물의 수준에 근거하여 M13·M14의 주인공을 건국주 고왕처럼 추앙받고 역사상 업적이 뛰어난 자, 고구려 계승성이 높고 천손을 지향하며 불법을 수호한 자, 세상의 진리를 밝힌 자로 평가받을 수 있는 문왕으로 추론하였다. 그러함에도 용두산고분군 용해구역의 고분 배열은 두 기의 고분이 한 쌍을 이루는 규칙성을 지닌 합장묘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문왕비 효의황후묘 동쪽에 있는 M11의 주인공에 대해서는 고고발굴 등 새로운 성과의 축적에 따라 앞으로 더욱 세밀한 검토를 필요로 한다.

    영어초록

    The thesis reviewed the status and buried persons of M13·M14 in Longhai tombs(龍海古墳區域) in the Longtoushan graveyard(龍頭山古墳群).
    Based on the confirmed data till now, time sequence of the construction period of identified tombs is: 775, the tomb of empress Hyoeu(孝懿皇后墓)→780, the tomb of princess Junghye(貞惠公主墓)→792, the tomb of princess Junghyo(貞孝公主墓)→830, the tomb of empress Sunmok(順穆皇后墓). These tombs had been changed in its constructing pattern from stone chamber tomb to tower-shaped brick chamber tomb(磚室塔墓) and to brick chamber tomb.
    The example of building on grave(墓上建築) was found in Liudingshan tombs(六頂山古墳群) which is the tomb of noblemen from royal family. It was also found in Henantun tombs(河南屯古墳) and Sanlingtun tombs(三靈屯古墳群) in a Sangkyung province. Going back to the period prior to this, its existence was also verified in royal tombs of Koguryo. The function of building on grave is not only as a place for a ritual ceremony, but also as a religious structure.
    And according to the tomb style, it is considered that the tomb with an building on grave which was found in pit-tombs of Liudingshan tombs was constructed earlier than M13·M14 in Longhai tombs. So the buried person of M13·M14 is believed to be the King Mun(文王), who was venerated like the King Ko(高王), founder of Balhae and has historical achievements. Moreover, the King Mun is thought to be the rightful successor of Koguryo, descendant from the sky and the protector of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