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皇龍寺 중금당 장육삼존불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ixteen-foot Colossal Buddha Triad of Hwangyongsa in Silla)

6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1.12
64P 미리보기
신라 皇龍寺 중금당 장육삼존불상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3호 / 235 ~ 298페이지
    · 저자명 : 최성은

    초록

    진흥왕 35년(574)에 조성된 황룡사 금동장육삼존불상은 ‘전륜성왕’으로 일컬어지는 인도 아육왕과 관련된 조성 연기설화가 전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이 연기설화는 ‘전륜성왕’인 진흥왕과 그가 지배하는 ‘佛緣國土 新羅’라는, 신라의 불국토설에 치중한 시각으로만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서 설명하는 불상의 재료와 모형, 주조시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이 설화가 진흥왕대에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을 ‘설화적’으로 구성한 ‘기록’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아육왕이 보냈다는 불상의 재료와 모형은 신라왕실에서 황룡사 장육삼존불상을 조성하기 위해 남조의 ‘陳’으로부터 가져온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남조지역은 동의 산지로도 유명할 뿐 아니라 아육왕상에 대한 신앙이 널리 유행했던 곳이므로 불상의 재료와 모형과 함께 아육왕상 설화에 대한 기본적인 소재도 강남지역에서 구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아육왕의 장육존상과 달리 황룡사 중금당에는 장육삼존불상과 함께 16존상이 더해져 모두 19존의 불・보살・제자의 권속이 봉안된 석가불의 장엄한 會上이 구현되었는데, 장육불상의 형식은 기존의 학설과 달리 인도풍의 아육왕상에서 중국식으로 토착화가 진행된 단계의 ‘통견식 대의에 시무외인과 여원인의 통인을 결한 불입상’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형식의 불상은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어 황룡사 장육불상의 도상이 후대 불상들의 범본으로 모사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협시보살상은 신라지역에서 출토한 숙수사지 금동보살입상이나 거창출토 금동보살입상과 유사한 형식으로 중국 남북조시대와 삼국시대에 널리 유행한, ‘X자’로 천의가 교차한 위에 다시 영락이 ‘X자’로 교차하는 유형의 보살상이 양식적인 면에서 시기적으로 가장 근접하는 형식일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ixteen-foot gilt-bronze Sakyamuni Buddha triad at Hwangyongsa(皇龍寺) made in the year 574 CE during the reign of King Jinheung (眞興王, r.540-576) in Geongju(慶州), the capital of Silla(新羅). The legend of the execution of this Buddha triad, recorded in Samguk Yusa(三國遺事), tells that materials and model images shipped by King Asoka of India had visited the ports and harbors of thousands countries, and finally arrived in Silla, where the Sakyamuni Buddha triad was successfully cast on the first attempt. Although this tale has been so far regarded as merely a legend, it gives quit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ronze and gold that arrived in Silla, and the name of the temple built for enshrining the model images of the Buddha triad, the place where they were cast, the amount of bronze and gold used for casting, and the time of execution.
    According to the Samguk Yusa account, the sixteen-foot gilt-bronze Buddha triad was first executed in Silla and enshrined in Hwangyongsa in March of the year 574 CE, just two years after the death of Crown Prince of King Jinheung, which suggests that the execution of the Buddha triad was most likely a project carefully planned by the Silla royal court. It seems that the Silla court ordered materials and models for the Buddha triad images from abroad and made a fairy-tale story relating King Asoka, which could enhance the legitimacy of Silla Buddhism and the image of King Jinheung as a powerful ruler and fervent patron of Buddhism, paralleling King Asoka.
    The worship of stupa and Buddha images legendarily made by King Asoka and brought from India was very popular in southern China during the Six Dynasties period, when many miraculous stories of the images from King Asoka were spread and handed down. During the reign of Emperor Wu(武帝) of the Liang dynasty, worship of the images legendarily made by King Asoka became more popular among fervent supporters of Buddhism, exhibited by extant stone images in the style of the Asokan image now in Chengdu Museum, Sichuan Province. With the polit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Six Dynasties China and Three Kingdoms Period Korea, it can be assumed that the vessels shipping materials and models for Buddha triad images most likely came from Southern China reigned by the Jin Dynasty, which had amicable relations with Silla at that time.
    At the site of the main central hall of Hwangyongsa there are three stone daises supporting pedestals of the Buddha triad extant today. However, nothing is known about the style and iconography of the Buddha triad images. It is worth noting that by the time the model images were brought to Silla in the late sixth century, Buddha images of Indian style related with King Asoka had already been modified by Chinese style in China. It is therefore presumed that the model images which arrived in Silla were more likely images modified in the Chinese style, because none of Indian style now survive from Silla.
    The sixteen-foot colossal Buddha images of Hwangyongsa were most likely copied as sacred model-forms of Buddha in Silla. Some standing Buddha images of the late sixth and seventh century in Silla, showing symmetrical U-shaped drapery folds of kasaya without a knot in the chest, are thought to demonstrate the iconography of the Buddha images of Hwangyong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