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집단예술심리치료에서의 KSD 질적 사례분석 (A Qualitative Case Study Analysis applying KSD in Group Art Psychotherapy for School Adjustment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3
28P 미리보기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집단예술심리치료에서의 KSD 질적 사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 / 19권 / 1호 / 205 ~ 232페이지
    · 저자명 : 김양민, 박은선

    초록

    본 연구는 학교생활부적응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집단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이들의 학교적응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미술, 언어, 놀이라는 예술적인 방식을 사용하여 시간과 공간의 분명한 경계를 가진 집단예술심리치료 경험의 본질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청소년 K시의 중학생 11명으로 주 1회 80분간 총 12회기의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먼저 전문가 5인들에 대한 평정자 간의 일치도를 검증하여 검사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이후 KSD 점수체계를 적용하여 그림형식 분석을 실시한 후, 6개의 질문을 Shake(1995)의 본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사례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KSD 그림형식의 세 가지 범주 중 활동 차원과 그림특성 차원은 표정을 비롯한 신체 형태에서 동적으로, 위치 장벽 차원은 장벽의 완화로 변화됨을 확인하였다. 본질적 사례분석 내용은 네 개 차원으로 범주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향상케 하는 효과적인 상담 개입을 위해 정서조절, 주도성, 흥미, 대인관계에 대한 결론에 기초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group arts psychotherapy exchange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Especially the study was focused to discern the essence of expereience in group arts psychotherapy using art, play, linguistic activity. The participants of 11 middle school students in City K were conducted 12-week group therapy program. Each session lasted 80 minutes once a week. First, It was to testify inter-rater reliability on five experts. Then the KSD scoring system was used to analyze figure format and the cases was categorized to be analyzed for six questions by Shake’s (1995)’s essential case study method. The result was verified that the the activating and drawing characteristic dimension was changed dynamic in bodily features, including facial expressions and location barrier dimension were observed the relief of barriers. The contents of the KSD questionnaire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nally, it was discuss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enhanc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in terms of emotion regulation, initiative, interest, inetrperso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심리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