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예술 표현요소의 정서 반응과 심리치료 역할의 가능태에 관한 연구 -도상과 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otional Respond and the Possible Psycho-therapeutic Role of the Visual Art -Focusing on Image and Colour-)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시각예술 표현요소의 정서 반응과 심리치료 역할의 가능태에 관한 연구 -도상과 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65호 / 589 ~ 611페이지
    · 저자명 : 이종한, 박종래

    초록

    본 논문은 미술치료 이론과 도상학, 도상해석학, 게슈탈트 이론 등 여러 선행연구를 활용하여 창작자와 감상자를 중심으로 작품에 포함된 여러 요소 중 주로 이미지와 색이 그 심리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고찰하고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시도한다.
    우선 기술적 분석 방법론으로서 도상학과 도상해석학, 게슈탈트 이론을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도상과 색을 인식하고 감각하는 과정과 경향성을 이해한다. 다음으로 미술치료의 이론적 접근법, 특히 투사검사 이론과 색채심리 이론을 통하여 작품 분석의 방향과 분석의 개연성이 유효함을 확인한다. 이어서 도상과 색의 측면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이는 현대 회화작가의 작품을 위의 방법론으로 분석한다. 도상과 색의 미술치료적 분석으로는 장 미셀 바스키아(Jean-Michel Basquiat, 1960~1988)와 키스 해링(Keith Haring, 1958~1990)의 작품을, 색의 특성이 강한 작품으로는 이브 클라인(Yves Klein, 1928~1962)과 이세현(1867~), 한국 모노크롬의 거장 박서보(1931~)와 최명영(1941~)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작품이 창작자의 직관적인 이미지와 색의 표현과정을 통하여 그 심리 정서, 나아가 삶의 과정을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감상자의 경우, 특히 순간적으로 감각되는 색의 영향으로 심리, 정서의 변화를 겪게 되며, 이러한 심리 정서적 전이현상을 잘 조직하여 응용하면 작품을 심리치료의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방법론을 상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고찰과 분석을 토대로 시각예술, 대표적으로 회화를 매개로 한 소통의 과정에 흔히 간과하는 창작자, 감상자 개인의 심리 정서적인 변화의 양상을 더 잘 이해하고, 미술치료와 관련하여 그 심리치료적 가능태를 확인하며 이를 창작 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시각예술 이미지와 인간 정서 심리의 밀접한 상호작용에 대한 학문적 이해의 폭을 넓혀 시각예술과 인간에 대한 보편적 이해의 장을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보다 심층적이고 세분화한 후속연구를 견인하는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in which images and colors affect psychological emotions, mainly among various elements included in works, focusing on creators and viewers, using several prior studies such as art therapy theory, iconography, iconography analysis, and gestalt theory. And then, attempt to analyze concrete artworks.
    First, by examining iconography, iconography, and gestalt theory as a descriptive analysis methodology, we understand the process and tendency of recognizing and sensing icons and colors. Next, through the theoretical approach of art therapy, in particular, the projection test theory and color psychology theory, the direction of analysis of works and the probability of analysis are confirmed to be effective. Next, we analyze the works of contemporary painters, who show prominent features in terms of icons and colors, using the above methodology. Art-therapeutic analysis of iconography and color includes works by Jean-Michel Basquiat (1960-1988) and Keith Haring (1958-1990). For works with strong color characteristics, the works of Yves Klein (1928-1962) and Lee Se-hyeon (1867-), and Korean monochrome masters Park Seo-bo (1931-) and Choi Myeong-young (1941-)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each work can directly reflect the psychological emotion and life process through the creator’s intuitive image and color expression process. In the case of the viewer, in particular, they experience changes in psychology and emotion due to the effect of color that is sensed momentarily.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and analysis, we can better understand the psycho-emotional changes of individual creators and viewers, which are often overlooked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rough visual art, typically painting, and their psychotherapeutic potential in relation to art therapy. It aims to expand the field of universal understanding of visual arts and humans by identifying and using them in the creative process, and furthermore, by broadening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visual art images and human emotional psycholog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further in-depth and detailed follow-up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