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자료에 대한 캐나다의 기능적 접근 방식 (The Functional Approach of Non-Pecuniary Damages in Canad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09
32P 미리보기
위자료에 대한 캐나다의 기능적 접근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45호 / 109 ~ 140페이지
    · 저자명 : 강윤희

    초록

    우리 법원은 2016년 위자료 기준액을 증액하고 피해자 및 가해자 요소를 다양하게 반영하는 새로운 위자료 산정안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구체적 사안의 특수성이 위자료 산정에 적절히 반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및 변화한 위자료 산정안이 적절한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적절한 위자료 금액 및 위자료 산정방법은 단순히 방법론적 연구에 그치지 않고, 위자료의 본질 및 기능과도 연결된다.
    캐나다는 비교법적으로 유래 없이 위자료는 만족적 기능만을 강조하고 우리 법원에서 강조하는 전보 기능 내지 억제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다고 평가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캐나다의 접근 방식을 우리나라에서 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지만, 반면 이러한 차이는 우리가 위자료를 바라보는 시각을 새로이 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하기도 한다. 실제로 캐나다 연방 대법원의 판결은 영연방 국가는 물론 미국의 실무에도 영향을 주었다.
    우선, 캐나다 연방 대법원은 비재산적 손해라는 항목하에 비재산적 손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있다. 특히 인신 손해의 경우 삶의 즐거움의 손상, 기대여명의 손상, 고통 등으로 손해항목을 구별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적절한 위자료 금액을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캐나다에서는 비재산적 손해를 금전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전제하에, 피해자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용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금전을 지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만 캐나다 연방 대법원은 이러한 용역을 일일이 서술하여 합산하는 엄격한 기능적 산정 방식 대신, 유사한 사례에서 배상된 금액을 파악한 후 피해자의 개별적 상황에 따라 피해자를 위로할 수 있는 금액을 도출한다.
    유사한 선례와 관련하여, 캐나다 연방 대법원은 인신 손해에서 비재산적 손해배상의 상한을 1978. 1. 기준 100,000$(CAD)로 두고, 피해자의 개별적 상황 및 물가상승률에 따라 그 금액을 조정한다. 이를 통하여 전국적인 비재산적 손해배상의 통일성 및 예측가능성을 확보한다. 피해자의 개별적 상황으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피해자의 연령이다. 2016년 우리 법원이 발표한 위자료 산정안에서는 아동을 위자료의 가중요소로 인정하고 있으나, 캐나다에서는 거기에 그치지 않고 연령을 비재산적 손해배상의 산정요소로서 적극 반영한다. 나아가 캐나다에서는 노동능력상실률과 비재산적 손해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당사자가 영위하였던 삶의 방법, 태도 등을 고려하여 불임, 추상, 수유 능력 등을 비재산적 손해 산정의 한 요소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캐나다에서 피해자가 즉사한 경우 피해자 가족에게 인정되는 비재산적 손해배상은 원칙적으로는 법률에 의하여 인정되는 것으로서, 사지마비 피해자에게 배상되는 비재산적 손해배상금보다 적다. 우리나라에서 유가족이 받을 수 있는 위자료의 합계를 제한하는데, 캐나다에서는 이와 달리 가족 구성원의 수를 비재산적 손해배상 요소로 고려하지 아니하여 가족 구성원이 많은 경우 전체 비재산적 손해배상액은 증액된다.
    위자료의 본질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에 따라 당사자들이 가장 큰 관심을 가지는 위자료 금액이 결정된다. 우리와 완전히 다른 시각에서 위자료를 접근하여 피해자의 개별적 상황에 보다 주목하는 동시에, 전국적인 통일성, 예측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캐나다 법원의 태도는 우리에게 적지 않은 점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In 2016, the Korean Court suggested a ‘New Assessment Model for Non-pecuniary Damages,’ which increases its cap and considers various factors of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of a tort. However, the research about this new model is not yet sufficient. The assessment of non-pecuniary damages is pertinent not only to its methodology but also to the essence and function of non-pecuniary damages.
    Unlike the Supreme Cour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anadian Supreme Court has been understanding the function of non-pecuniary damages only as providing solace instead of as a compensation or deterrence. This difference makes it difficult for the Korean court to adopt Canadian approach, but at the same time, it offers a chance to take a different view of non-pecuniary damages. Indeed, this view of the Canadian Supreme Court has influenced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Commonwealth countries.
    The Supreme Court of Canada recognizes the various types of non-pecuniary loss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odily damage, items of damages are categorized into, for example, loss of the amenities of life, reduction of life expectancy and pain, in an effort to deduct appropriate amount of non-pecuniary damages.
    Moreover, Canadian law aims to provide victims with money which they could exchange for services that could give them new joys of life, under the premise that the victims’ non-pecuniary damages cannot be evaluated in terms of monetary value. It draws a specific amount of non-pecuniary damages that can provide solace to the victims depending on by figuring out the judicial awards in previous cases, and adjusting it to serve the individual needs of the victims.
    The Canadian Court set the upper ceiling of non-pecuniary damages in a case of bodily damages at CAD 100,000 in January, 1978, and adjusts the specific amount by taking into account victims’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inflation. The court is able to ensure the uniformity of non-pecuniary damages nationwide, and predictability.
    One of the relevant factor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victims’ individual circumstances is a victims’ age. The newly proposed model for non-pecuniary damages by the Korean court in 2016 increases the amount of non pecuniary damages in a case of a child victim. Canada takes a step further, and actively reflects the ages factor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non-pecuniary damages. Furthermore, in Canada, rather than simply relating work disability rating (WDR) and non-pecuniary damage, such factors as the lifestyle led by a victim and his demeanor are taken into account in determining the amount of non-pecuniary damages, in addition, such factors as infertility, leisure, and breast-feeding ability are also considered in calculating non-pecuniary damages.
    The way one understands the essence of non-pecuniary damages is related to the assessment of the awards. The Canadian court’s approach for non-pecuniary damages focus more on the specific and individual circumstances of the victims, while at the same time, pursuing uniformity and predictability. The Korean court has a lot to learn from this functional approach of the Canadian cou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