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페미닌 보이스: 여성 퍼포먼스 아트에서 목소리의 수행성과 젠더 롤 해체하기 (Feminine Voice:Performativity of Voice and Deconstructing Gender Role in Women’s Performance Ar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0
32P 미리보기
페미닌 보이스: 여성 퍼포먼스 아트에서 목소리의 수행성과 젠더 롤 해체하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음악논단 / 46권 / 71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경화

    초록

    현대 퍼포먼스 아티스트의 대다수가 여성이라는 것은 우연일까? 예술 창작 주체의 몸과 목소리, 퍼포먼스 하는 육체성을 강조하는 퍼포먼스 아트가 여성 창작자에 의해 주도된 창작 음악 씬이라는 사실은 우연의 결과로 보기 어렵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예술 창작의 주체자이기보다는 수행적 역할을 하는 존재였다. 서양 음악 문화에서 음악 창작과 그것을 수행하는 연주 영역은 이분법의 젠더 카테고리에 의해 남성과 여성의 영역으로 철저히 분리되어 왔다. 무대 위에서 노래하고, 음악을 연주하는 행위는 육체성을 디스플레이하는, 여성의 영역으로 오랫동안 간주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가 자신의 몸이 곧 표현 재료이자 수단인 현대의 퍼포먼스 아트는 젠더 통념에 따라, 남성 창작자보다는 여성 예술가들의 접근성이 높은 분야일 수 있다.
    그러나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예술가는 단순히 누군가가 창작한 예술 작품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수행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재료로 직접 작업하는 창작자로서 존재한다. 퍼포먼스 아트에서 여성 창작자들은 자신의 몸을 드러내며, 스스로가 만들어내는 소리를 통해 그들에게 부여된 젠더 통념과 역할에 질문을 던진다. 이 연구는 여성 퍼포먼스 아티스트가 예술 창작의 재료로서 자신의 몸과 목소리를 사용하는 방식에 주목한다. 특히 몸을 통해 만들어내는 특별한 소리인 목소리에 집중해 본다. 이 연구는 발화된, 혹은 노래 불린 목소리의 소리적, 재료적(material) 특성과 함께 단순히 표현의 개념을 넘어 ‘목소리 내기’를 통해 드러나는 목소리의 수행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위해 독특한 보컬 사운드를 매개로 고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한 메러디스 멍크(Meredith Monk, 1942-)와 로리 앤더슨(Laurie Anderson, 1947-)의 퍼포먼스를 분석한다.

    영어초록

    Would it be just a coincidence that most of the modern performance artists are female? It is not just mere chance that performance art is a creative musical scene which is dominated by female artists. This performance art insists the performing body including one’s voice. Traditionally, women have just played a performing role given by male artist instead of being an agent in art. In the Western music culture, creating art and being the objects of display have been separated by gender binary. Displaying corporeality such as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n the stage has been considered as a women’s role for many decades. In this sense, according to the stereotypical notion of gender, modern performance art where artists become the material and the means of expressing art can be something that a female artist can approach easily compared to male artists.
    However in performance art, a female artist is not just an object of display. Instead, they exist as an agent of art who creates themselves as an artist using their body and voice. Eventually, this makes the female artists to challenge gender binary by exposing their body and voice.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of using female performance artists’ body and voice as musical materials for self-representation, especially the vocality.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sonic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uttered or sung voice, the performative meaning of the voice revealed through ‘voicing’ is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of Meredith Monk and Laurie Anderson who created their own artistic world using their body and vo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