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M. 엑카르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 (die Erkenntnistheorie im M. Eckhar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9.10
23P 미리보기
M. 엑카르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철학 / 13호 / 177 ~ 199페이지
    · 저자명 : 이부현

    초록

    이 글은 M. 엑카르트의 신비주의에 이르는 이론적 통로를 밝히
    기 위해 그의 인식론의 기본 개념을 밝히고 있다. 엑카르트는 인간
    인식의 단계적 영역을 ① 감각 지각 ② 참여를 통해 오성적인 것
    의 영역 또는 내적 감각의 영역 또는 하위의 오성 ③ 추론적 오성
    또는 오성 ④ 상위의 오성 또는 이성 등으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들 말마디의 기본 개념을 해명하고 있다.
    그의 인식론의 궁극적 거점은 신의 순수 이성이다. 신의 순수 이
    성과 인간 이성이 하나 될 때, 인간은 일의적으로 순수 이성이게
    된다. 인간은 신적 순수 이성을 향해 위로도 향하지만, 감각적 외
    적 세계를 향해 아래로도 향한다. 위로 향할수록 우리는 내적 인간
    으로 상승하는 반면, 아래로 향할수록 우리는 외적 인간으로 하강
    한다. 인간은 신적 순수 이성과 감각 사이를 오가고 있다.
    우리는 위를 향하기 위해 아래 것을 모조리 비워야 한다. 엑카르
    트는 수용성, 그리고 모든 힘과 행위에 반대해 그냥 놓아두고 있음
    (Zulassen)을 중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그의 인식론은 극히 논리
    적이고 학문적인 아리스토텔레스나 토마스의 인식론과 달리, 인간
    의 종교적ㆍ실존적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이 작업은 엑카르트의 신비주의 사상이 나름대로 이론적 근거를
    갖고 진행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시도된 일련의 작업 중 하나이
    다. 하지만 어떤 차이도 허용하지 않는 궁국적 통일성인 신성에 대
    한 논의는 그의 이론을 훌쩍 넘어서고 있다. 그의 신비주의 사상은
    이론과 경험이 합쳐져야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die fundamentalen
    Begriffe der M. Eckharts Erkenntinistheorie zu erörteren. Eckhart
    unterscheidet normalerweise die folgenden Bereiche des menschlichen
    Erkennens: ① Den Berech der Sinneswahrnehmung und ② den
    Bereich der inneren Sinne bzw. des durch Teilhabe Vernünftigen
    oder ratio inferior und ③ den Bereich des diskursiven Verstandes
    oder der ratio und ④ ratio superior oder des intellectus. Also
    erörtert diese Arbeit diese fundamentale Begriffe.
    Letztliche Grund seiner erkenntnistheorie ist reiner intellectus
    des Gottes. Nämlich menschliche Vernunft univok intellectus, da
    sie den göttlchen intellectus in ihrer Leere so gänzlich aufnehmen
    vermag, daß sie nichts anderes ist als dieser. Das Menschliche
    Erkenntnisvermögen hinordnet auf das ihm Obere, nämlich auf
    Gott, oder auf das ihm Unten, nämlich auf das nichtendes Nichts.
    Menschen immer bewegt zwischen reinem intellectus des Gottes
    und Bereich der Sinneswahnehmung, die stiftet das Nichts.
    Also wichtig für Eckhart die Empfänglichkeit, das Zulassen, im
    Gegensatz zu allem Machen und Tun ist. Die höchste Form des
    Tun ist die Abscheidung von allem, was Empfänglichkeit hindert,
    als die Vorbereitung zu geistiger Empfängnis. Tun dient also dem
    Empfangen.
    Im diesen Arbeit, können wir verstehen, daß die Eckharts
    mystische Denken habe die eigentlichen, erkenntnistheoretischen
    Grund. Aber Gottheit ist einic ein, abgeschieden von aller Zahl
    und nicht auf die Zahl bezogen. Daher ist die Einheit Gottes dem
    erkenntnistheoretischem Grund gegenüber transzendent. Denn
    seine Erkenntnistheorie behandelt mit die Einheit von mehreren
    und Unterschiedenen, nämlich Differenz zwischen Menschen und
    Gott, also nicht Einheit schlechth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전